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7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786367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Perception towards advance directives, hospice-palliative care,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the middle aged adults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장차 사전의료의향서와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를 우리사회에 정착화할 때 기초자...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장차 사전의료의향서와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를 우리사회에 정착화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광역시 및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5세미만의 중년기 성인으로 200명을 편의추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1년 3월부터 6월까지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총 200부의 설문지 중 자료가 미비한 내용을 제외한 16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부분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없다고 응답한 반면 생전 유언에 대한 지식과 대리인 지정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연명치료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과 생전유언 및 대리인 지정에 대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인의 연명치료에 대해 대부분이 시행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인공호흡 시행에 가장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 대부분이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는 동의하나 지식은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국내에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다양하고 활발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국민적 동의를 거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노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애주기에 있는 대상자를 포함하여 사전의료의 향서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하는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5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9
    57 19 장기 조직 이식 재생의학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전망 / 정교민, 안두현 2013  148
    56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처방 예측 모델/고승완 외 2018  148
    55 20 죽음과 죽어감 사례 중심으로 풀어보는 연명의료 / 이명아 2017  147
    54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5
    53 9 보건의료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의료인의 의료행위 규제 / 박창범 2018  145
    52 20 죽음과 죽어감 지면보수교육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지침과 해설/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2017  142
    5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석준 외 2017  141
    5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장한철 2018  141
    4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2008  139
    4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47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8
    46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45 15 유전학 개인 유전체 기반 맞춤 의료 현황과 발전과제 / 정기철 외 2015  136
    44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2018  135
    43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5
    42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4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
    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윤영미 외 2017  120
    39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