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60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 국어교육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86564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초록 ( Abstract )

  • 이 연구는 문학교육과 윤리교육의 매개체로서 도덕적 상상력을 고찰하고 문학교육을 통해 이를 신장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문학텍스트의 수용과정에서 ...
  • 이 연구는 문학교육과 윤리교육의 매개체로서 도덕적 상상력을 고찰하고 문학교육을 통해 이를 신장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문학텍스트의 수용과정에서 도덕적 상상력이 발현되는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현대윤리는 기존의 선험적인 윤리 지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수많은 도덕적 갈등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윤리는 보편적인 지식을 다루는 데는 강점을 지니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문학은 구체성과 특수성은 강하나 보편성을 구안해 내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이에 도덕적 상상력은 상상력을 윤리적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서사윤리학을 매개로 문학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서사윤리는 서사의 윤리적 기능과 문학의 서사적 형식을 종합한 영역이다. 서사와 윤리는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윤리는 서사를 통해 대안적 윤리를 모색하였고 서사 역시 윤리를 통해 삶과의 연관성을 중시해왔다고 할 수 있다. 서사윤리란 불변하는 보편으로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새로운 특수가 기존의 잠정적 보편 윤리에 통합해 나가는 수정 가능성이 열려 있는 것임을 의미한다. 특히 소설은 인간의 갈등과 충돌, 선택을 통해 무엇이 윤리인가를 보여주고 독자의 평가나 판단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관점들의 정합들로 이루어지고 수정 가능성을 인정하는 열린 구조를 제공해 준다.
    문학에서 윤리적 가치는 텍스트 속에 형상화되어 내재해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명제 형식으로 직접 인지할 수 없으며 추체험을 통해 자기화해야 한다. 즉 작품 감상 결과 내면화에 앞서 독자가 문학의 윤리적 가치를 경험하는 방식이 무엇인가 먼저 해명되어야 한다. 이때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신장이 그 간극을 매워줄 매개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문학 작품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를 구안하여 생명윤리의 영역 중 자살, 사형, 안락사, 생명 복제를 다룬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윤리적 쟁점을 파악하고 이 쟁점이 드러난 실제 작품을 문학적 상상력과 사고 활동 구조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를 통해 해석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도덕적 주체로서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구안하였다.
    학습자는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발달단계를 거쳐 문학에서의 윤리적 또는 도덕적 가치를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여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도덕적인 인간으로 살아가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렇게 문학 감상이 이루어질 때 윤리 실천으로서의 문학교육은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며 문학의 눈으로 윤리 보기를 실천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문학을 통해 폭 넓은 가능성의 실현과 자아의 발달을 포용하는 기제로서 도덕적 상상력의 위치를 논한 것에 의의가 있다.





    목차 ( Index )

    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사 검토 4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8

    II. 문학교육과 윤리교육 13

    1. 문학을 통한 윤리교육의 필요성 13

    (1) 윤리교육의 한계 13

    (2) 문학교육의 반성 18

    2. 문학을 통한 윤리교육의 가능성 22

    (1) 상상력과 윤리교육 22

    (2) 서사윤리학과 문학교육 27

    III. 문학교육과 도덕적 상상력 32

    1.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과 의의 32

    (1)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 32

    (2) 도덕적 상상력의 의의 38

    2. 문학적 상상력과 도덕적 상상력 42

    (1)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 42

    (2)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기능과 양상 50

    IV.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1. ‘자살’의 윤리 문제 : <좀머 씨 이야기> 55

    2. ‘사형’의 윤리 문제 : <사형수 최후의 날> 70

    3. ‘안락사’의 윤리 문제 : <청원> 83

    4. ‘생명 복제’의 윤리 문제 : <블루프린트> 98

    V. 요약 및 결론 113

    참고문헌 116

    ABSTRACT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0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39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38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9
    37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36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35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위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심의과정상의 위험 / 남수진 외 2015  242
    34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33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32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31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 이일학 2010  221
    3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29 1 윤리학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 정재우 2015  217
    28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5
    27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2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25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24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김병수 2008  205
    23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생명윤리 / 김은애 2014  202
    22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21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