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33289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저자 : 박혜정
  • 형태사항 : iv, 63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지도교수: 강성만
    참고문헌 : p. 54-56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10.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주제어 : 생명윤리교육




초록 ( Abstract )

  •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에 의해 1996년 복제양 돌리가 탄생하고 2003년 최종적으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는 등 과학은 하루가 다르...
  •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에 의해 1996년 복제양 돌리가 탄생하고 2003년 최종적으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는 등 과학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고 있다. 생명공학의 발달은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욱 풍요로운 삶을 제공하고 있지만 기술발달에만 치중하여 그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에 대해 간과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에 소홀한 실정이다.
    앞으로 미래의 과학자가 될 청소년들과 우리 모두가 생명과학을 배우는 과정에서 생명공학의 기술발달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이로 인해 생기는 많은 문제점들을 생각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생명윤리에 대한 바른 정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 교과서의 생명윤리 관련 주제들에 대해서 제시되어 있는 방법과 생명공학기술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 그로 인한 문제점, 그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교과서내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비교분석을 통한 교과서 내의 문제점으로는 생명공학기술의 이용방안은 체계적으로 설명한 반면 생명공학의 발달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이지 않은 내용 제시와 그 내용 또한 부족하고 문제점에 대한 대안의 제시로써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
    이에 대해 개선방안으로 교과내용적인 측면에서 기존 생물II 교과의 ‘V.생물학과 인간의 미래’단원에 부족한 생명공학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과 생명윤리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는 방안과 생명공학의 발달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내용 제시와 생명윤리의 개념 및 필요성을 다루기 위해 ‘생명과학과 윤리’라는 새로운 단원을 제안한다.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는 빠르게 발달하는 사회에 맞추어 학생들에게 흥미유발을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영화미디어를 활용한 수업방안’을 제안하고 마지막으로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이니만큼 윤리교과와의 연계를 제안한다.
    생물II 교과서는 고등학교 자연계 학생들의 심화선택과목이므로 미래의 과학자가 될 수 있는 학생들에게 생명 과학 기술의 연구와 성과에 대한 교육에 앞서 생명공학의 근본적인 목적이 인류의 삶을 보다 행복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함이고 그러기 위해서 생명윤리의식이 밑바탕 되어야 함을 가르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 Index )

    I.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자료 및 방법 2

    II. 연구의 이론적 배경 6

    1. 생명윤리 6

    (1) 생명윤리의 개념 6

    (2) 생명윤리의 필요성 7

    2. 생명공학 8

    (1) 인간게놈프로젝트 8

    (2) 배아줄기세포와 인간복제 9

    (3) 유전자조작식품 11

    (4) 장기복제와 이식문제 13

    3. 생명윤리관련법규 14

    III. 생물II 교과에서 생명윤리교육의 현황 17

    1. 교과서내의 생명윤리와 관련된 목표와 내용 17

    2.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의 형태 20

    (1) 생명윤리교육에 관한 예시자료비교 20

    (2) 생명윤리적 측면에서 본 생명공학의 이용과 문제점비교 25

    (3) 생명공학발달에 의한 문제점에 대해 제시된 대안 비교 31

    3. 교과서에 논의된 생명윤리교육의 문제점 33

    IV. 생물II 교과에 있어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 36

    1. 교과 내용ㆍ구성에 있어서의 개선방안 36

    (1) 교과 구성에 있어서 생명과학과 윤리 단원 제시 36

    (2) 교과 내용에 대한 개선방안 38

    2.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서의 개선방안; 영화미디어를 활용한 수업방안 40

    3. 윤리 교과와의 연계 48

    V. 결론 51

    참고문헌 54

    부 록 5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48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
    154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1546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2016  314
    1545 18 인체실험 황우석 교수사태 관련 한국 언론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 : 매체간. 매체내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석봉 2006  314
    154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2015  314
    1543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1542 8 환자 의사 관계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 최규연 2017  314
    1541 9 보건의료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의 허가 규정 / 김은미, 김형중, 조정희 2007  315
    1540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15
    1539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빅데이터 현황과 발전방향 / 김주미 2018  315
    »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6
    1537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2016  316
    1536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1535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6
    1534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1533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2015  316
    1532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국가유공자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중심으로 / 김유미 2018  316
    1531 1 윤리학 의료법세션 : 최근 국가 의료정책의 변화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평석 / 김향미 2012  317
    1530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에 관한 사설과 칼럼의 프레임과 내용 분석 / 지승재 2016  317
    152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