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학과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70710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uthanasia in Bioethics Education : focused on analyzing high school moral textbooks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초록 ( Abstract )

  • 인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잘 살아가는가’의 문제이고 이것은 곧 ‘죽음을 어떻게 준비하는가’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 죽음의 문제는 곧 삶의 문제이며 죽음에 대한 생각...
  • 인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잘 살아가는가’의 문제이고 이것은 곧 ‘죽음을 어떻게 준비하는가’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 죽음의 문제는 곧 삶의 문제이며 죽음에 대한 생각은 행복한 삶에 대한 생각인 것이다. 이것은 생명 윤리 교육으로서 중요한 부분이다. 신의 고유 영역이었던 죽음의 문제가 인간 의 선택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되기 시작하였다. 이 문제는 도덕교육과 관련성이 깊고 생명 윤리 교육으로서 유의미하다.
    본 연구는 생명 윤리 교육의 주제 중 하나인 안락사 문제를 2009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의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락사의 의미를 제시하고 자의적, 반자의적, 비자의적, 적극적, 소극적 안락사로 분류하였다. 안락사에 대한 정의나 분류는 학자들마다 상이한 견해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쟁점 사안이고, 우리 생애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러한 안락사를 윤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중효과의 원리, 미끄러운 경사길 논변, 자기결정권과 생명권에 대하여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세 가지 관점은 안락사 찬반논쟁의 어느 한 쪽의 근거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안락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런 관점에서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교과서에 제시된 안락사 문제를 목표의 명료성, 내용의 적합성, 구성의 타당성, 내용의 정확성 및 공정성, 발달 단계의 적합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안락사 교육 내용에 대한 제언으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안락사에 대한 통합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지적 접근에 그치지 않고 정의적, 행동적 영역까지 통합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지역 사회와 연계된 봉사활동학습과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하는 교육은 통합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안락사 교육에 필요한 내용 요소를 충실하게 갖추어야 한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 죽음의 의미, 안락사의 의미와 분류, 현대 사회의 안락사 문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평가, 안락사에 대한 자신의 의견의 내용이 적절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논술과 토론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논술과 면접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교과 당위성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신문 활용 교육 등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이용하면 보다 교육적일 것이다. 넷째, 자기 주도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탐구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생전 유언 작성, 역할 채택 등의 다양한 탐구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다양한 자료들이 효과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안락사 교육 정책에 대한 제언으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를 대상으로 교과서 평가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개발 과정에 교사, 학생, 시민들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 등의 안락사와 관련된 학습 자료를 다양한 개발하여 보급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넷째,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실시할 수 있는 봉사 활동 학습의 활성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 선발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로 교과서 평가를 추가하고 안락사와 관련된 생명윤리 분야의 요소를 강화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생명 윤리 교육에서의 안락사 문제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검정교과서 체제에서의 교과서 개발 및 활용에 기여하여 보다 발전적인 도덕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이렇게 안락사와 관련된 생명윤리교육을 실시한다는 것은 인간의 삶이 얼마나 고귀한 것인지에 대하여 교육하는 것과도 같다. 안락사 문제는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중요하고 의미 있는 요소이므로, 교육현장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의 과제 및 내용 3

    3. 연구 방법 및 제한점 4

    Ⅱ. 안락사의 정의 및 윤리학적 평가 6

    1. 안락사의 정의 6

    2. 안락사의 분류 10

    3.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평가 17

    Ⅲ.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과 교과서 분석 45

    1. 교과서 분석의 관점 45

    2. 안락사 교육 내용 분석 48

    Ⅳ.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과 교과서에 대한 제언 73

    1. 안락사 교육 내용에 대한 제언 73

    2. 안락사 교육 정책에 대한 제언 80

    Ⅴ. 결론 84

    참고문헌 87

    ABSTRACT 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17 15 유전학 인체유래 생물자원 관련 생명윤리정책 제언 / 조순로, 설성수 2010  511
    116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2
    115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11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11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11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11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6
    110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10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108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8
    10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1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105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9
    104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2
    »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4
    102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2015  551
    101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9
    100 17 신경과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 외 2018  575
    9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7
    9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