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ㆍ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062850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저자 : 이필연
  • 형태사항 : iii, 66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승환
    참고문헌: p. 62-66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ㆍ윤리교육전공 2013.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3
  • 주제어 : 생명윤리교육



초록 ( Abstract )

  • 학교폭력, 자살 등 최근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생명경시현상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게 한다. 그리고 생물공학과 유전학 등...
  • 학교폭력, 자살 등 최근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생명경시현상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게 한다. 그리고 생물공학과 유전학 등의 생명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들은 그 기술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시점에 있는데 다양하고 새로운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생명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생명존중정신의 내면화를 통한 도덕적 정체성 형성에 있고, 도덕적 정체성 형성은 도덕 교과의 과제이기에 도덕 교과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책임성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된다. 즉 도덕교과에서는 통합적 인격교육이라는 교육적 이념을 바탕으로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향상, 생명존중 가치의 내면화 및 도덕적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능력 제고, 실천의지 강화 등의 도덕성의 요소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의 체계화,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성 구상에 도움을 주고자 현대사회의 청소년에게 필요한 생명윤리교육은 무엇인지 고등학교 도덕 교과를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생명윤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먼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분석틀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과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새로운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즉 교과서에서 어떤 내용을 선정하고 그 내용을 어떻게 조직하고 있는지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생명존중윤리’, ‘생명의료윤리’, ‘생명공학윤리’ 영역과 ‘자신(인간)의 생명 존중’, ‘다른 생물의 생명 존중’, ‘환경과 관련된 생명 존중’, ‘출생․죽음, 성결정과 관련된 생명 윤리’, ‘환자의 권리와 관련된 윤리 의식’, ‘첨단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 ‘생명공학 연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 범주로 내용을 구분한 뒤, 지식제공과 경험․활동제공의 제시목적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생명윤리교육의 내용과 교육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여 현대 청소년들의 생명경시풍조를 해결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며 마무리하였다.
    문제점과 방향성을 요약하면, 첫째, 현실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실성 있는 생명윤리의 내용들이 부족하기에 추가가 요구되고, 단편적인 소개에 그치고 있는 제재들의 관련내용은 보다 풍부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그러한 내용들을 연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재구조화를 통해 사고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본문의 내용에 대한 민감성을 높여줄 수 있는 보충자료가 추가되어야 하는데, 특히 도덕적 동기와 흥미유발을 강화할 수 있는 주제와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시각적 자료와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례들을 포함한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논술과 토론 등의 경험․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활동이 대학 입시준비를 위한 활동이 아닌 도덕 교과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활동의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도덕적 감정과 민감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방법과 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도덕적 감정과 민감성은 우리로 하여금 도덕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해주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동기를 유발시켜 주며, 도덕적 행동을 가능케 하는 정서적 추진력이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통합과 체제 구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 즉『윤리와 사상』교과와 『생활과 윤리』교과를 통합하여 『윤리와 사상』교과가 가진 현실 유리적인 이론교과로서의 단점과 『생활과 윤리』교과가 가지는 배경지식의 부족의 문제점을 서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도덕 교과의 정당성은 생명존중의 윤리적 자세와 태도를 지닌 바람직한 인격의 청소년들 육성에 있기에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이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심층적인 논의와 방향성 모색이 요청된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범위와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1. 생명의 의미 5

    2. 생명윤리의 성격 및 주요문제 10

    Ⅲ. 생명윤리교육 분석을 위한 방법론 14

    1. 기존의 분석틀과 한계 14

    2. 『생활과 윤리』에 적합한 분석틀 20

    (1) 생명윤리교육내용의 영역과 범주 20

    (2) 생명윤리교육내용의 제시목적과 제시방식 26

    Ⅳ. 『생활과 윤리』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분석 27

    1. 『생활과 윤리』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의 목표 27

    2. 『생활과 윤리』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의 내용 28

    (1) ‘제재’ 분석 28

    (2) ‘제시목적’ 과 ‘제시방식’ 분석 43

    Ⅴ. 결론 52

    1. 분석결과 52

    2. 제언 58

    참 고 문 헌 6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48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1347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1346 2 생명윤리 예비 생물교사들의 생명윤리 논쟁거리에 대한 논증 활동의 효과 / 김선영 2015  346
    134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1344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6
    1343 9 보건의료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시스템 / 강희범 2017  346
    1342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6
    1341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
    1340 18 인체실험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 이상원 2015  347
    1339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1338 5 과학 기술 사회 연구자주도임상 관련 재정적 지원의 법률적 문제점에 대한 검토 / 강한철 2012  347
    1337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1336 18 인체실험 구강편평상피 암세포와 이종종양 모델에서의 화학요법과 배아줄기세포 유래 조혈모세포, 혈관내피세포의 단백체 분석 및 기능 연구 / 이라함 2016  348
    1335 17 신경과학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김진국 2018  348
    »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2013  349
    133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9
    1332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349
    133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9  349
    133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50
    132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