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927831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The)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on deciding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who are terminally ill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가족의 경험을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원 소재 1개 대학병원에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주치의가 환자의...
  • 본 연구는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가족의 경험을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원 소재 1개 대학병원에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주치의가 환자의 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여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가족(주간호제공자)이다. 자료수집은 2002년 8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심층면접 방법으로 하였고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6개의 주제와 39개의 경험내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명치료 중단 결정 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은 연명치료 중단 결정 시기와 연명치료 중단 결정 후로 범주화 되었다.
    2. 연명치료 중단 결정시기의 경험에서는 연명치료 중단 결정요인, 결정과정, 결정 참여자가 주제로 도출되었고, 연명치료 중단 결정 후의 경험에서는 치료의 내용, 죽음수용, 예측된 상실반응의 주제가 나타났다.
    3. 연명치료 중단 결정요인은 회복 가능성, 고령, 고통경감, 신체 손상, 의식수준, 부담감, 주변의견, 가족의 과거 경험, 환자 본인의 평소 희원이었다.
    4. 연명치료 중단 결정과정은, 모두 의사가 먼저 권유하고 이를 가족이 합의하여 수용하였다.
    5. 연명치료 중단결정 참여자는 의사와 가족, 친지들로 나타났고, 가족합의 과정에서 환자는 제외되었다. 간호사도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치료의 내용에서는 치료중단 자체에 대한 갈등, 고통경감과 생명단축 사이에서의 갈등, 계속되는 연명치료에 대한 분노, 병원에서의 기본간호에 대해서도 분노, 계속되는 치료를 거부하지 못함이란 경험내용이 나타났다.
    7. 치료중단 전후 처치 변화는 없었고, 치료결정에 의사 외에 다른 의료진의 참여나 환자, 가족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죽음수용에서는 죽음을 받아들이기까지의 준비기간 필요, 환자 자신이 죽음을 임박했음을 알고 있다고 생각, 환자 자신이 삶의 마무리를 잘 하기 바람, 환자에게 임종준비를 시키지 못함에 대한 죄책감, 고통없이 가기를 바람, 깨끗하게 가기를 바람, 모든 것을 다 소진함, 임종을 위해 가족이 모두 모임, 병원환경 및 면회제도에 대한 바람, 장례준비, 최선을 다 했다는 자기위안, 임종을 위한 의료진의 지지 필요의 경험내용이 나타났다.
    9. 예측된 상실반응에서는 예상되는 이별로 인한 초조함, 자식을 앞세운다는 한탄, 환자의 치료 불이행 태도를 원망, 환자에 대한 연민, 자신의 처지 한탄, 지나온 생활을 회고함의 주제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기환자의 가족은 회복가능성이 없음을 주된 이유로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하고, 의사가 권유한 것을 가족이 수용하는 형태이나 환자는 배제한 채 가족이 결정하였다. 연명치료 중단 결정 전후 치료내용의 변화는 없었고 가족들은 치료의 진행상황을 알지 못한 채 모든 의사결정을 의료진에게 맡기고 있었다. 연명치료를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나 이를 거부하지 못해 분노하고 갈등하고 있었으며 심지어는 기본 간호도 무의미한 치료로 생각하고 있었다.
    가족들은 환자의 죽음을 수용하고는 환자 자신도 죽음이 임박했음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환자와 함께 죽음을 준비하지는 못하였다. 그로 인해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죽어간다는 말을 하지 못하고, 환자 스스로 죽음을 준비하고 존엄을 지키고 죽어가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가족들은 의료진의 지지와 환자와 가족이 함께 있을 수 있는 임종실과 면회제도를 원하였다. 환자의 죽음을 수용한 후 가족들은 초조함, 한탄, 원망, 죄책감, 자기연민, 회한, 회고 등의 예측된 상실반응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간호사는 연명치료 중단 결정요인, 결정과정, 결정 참여자, 치료의 내용에 대하여 잘 알고 의료팀간에, 환자 및 가족간에 의사소통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들은 고통완화, 고령, 신체손상을 근거로 연명치료 중단을 조장, 방조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하되, 환자가 존엄을 지키고 삶에 대한 정리를 하고 죽어갈 수 있도록 하는 옹호자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간호사는 연명치료 중단 결정시기가 예측된 상실반응이 나타날 수 있는 시기라는 이해를 통해 간호중재를 하여야 하며, 죽음에 대해 환자와 가족이 함께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가 인간의 존엄성과 위엄을 갖추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임종실이나 가족실을 운영하고, 말기환자의 무의미한 치료에 드는 비용을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스피스 간호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말기환자의 치료의 범위, 치료 중단의 범위 등을 환자, 가족과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윤리지침이 만들어지고, 법적 보장 위에서 연명치료 중단 규정이나 윤리위원회 등이 운영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표차례 = ⅲ

    그림 차례 = ⅳ

    부록 차례 = ⅳ

    국문 요약 = ⅴ

    제 1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2

    3. 용어정의 = 2

    제 2장 문헌고찰 = 4

    1.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 = 4

    1) 의학적 근거 = 4

    2) 윤리학적 근거 = 7

    3) 법적 근거 = 10

    2.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가족의 경험 = 16

    제 3장 연구방법 = 19

    1. 연구설계 = 19

    2. 연구대상 = 19

    3. 연구자의 준비 = 19

    4. 연구도구 = 19

    5.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1

    6. 자료분석 방법 = 22

    제 4장 연구결과 = 24

    1. 연구대상자 및 환자의 특성 = 24

    1) 연구대상자의 특성 = 24

    2) 환자의 특성 = 24

    2. 연구대상자의 경험내용 = 29

    1) 연명치료 중단 결정시기의 경험 = 30

    2) 연명치료 중단 결정 후 가족의 경험 = 49

    제 5장 논의 = 76

    1. 연명치료 중단 결정 시기의 경험 = 76

    2. 연명치료 중단 결정 후의 경험 = 81

    3. 연구의 의의 = 85

    제 6장 결론 및 제언 = 87

    1. 결론 = 87

    2. 제언 = 89

    참고문헌 = 92

    부록 = 101

    영문 요약 = 1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6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발행년 2014 

    • 조회 수 29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 Lee Paul Inkook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1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발행년 2008 

    • 조회 수 149

    9 보건의료 병원 전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소생술 중단 기준 결정을 위한 분석 / 강현주, 정진희, 어은경, 배현아

    발행년 2010 

    • 조회 수 342

    9 보건의료 응급의료의 법과 윤리 / 이석배, 배현아, 정중식, 김미란, 김지희

    발행년 2009 

    • 조회 수 204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들의 연명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 미치는 영향 / 최진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24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발행년 2003 

    • 조회 수 556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26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565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발행년 2014 

    • 조회 수 406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122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발행년 2014 

    • 조회 수 53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63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발행년 2013 

    • 조회 수 520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9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4423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발행년 2012 

    • 조회 수 526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발행년 2012 

    • 조회 수 56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발행년 2012 

    • 조회 수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