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67584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환자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저자 : 권세희
  • 형태사항 : iii, 37 p. : 삽도,챠트;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35-36
    설명적,서지적 각주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2009. 2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초록 ( Abstract )

  • 20세기 이후 연명치료기술의 발달로 치료가 더 이상 무의미한 환자들의 생명을 지속적으로 연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로인해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더 이상의 무의미한 치료를 하는 ...
  • 20세기 이후 연명치료기술의 발달로 치료가 더 이상 무의미한 환자들의 생명을 지속적으로 연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로인해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더 이상의 무의미한 치료를 하는 것은 옳은가라는 질문이 제기되면서 연명치료중단의 필요성이 주장되었다. 그리고 만약 회복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연명치료중단이 가능하다면, 환자의 죽음에 대한 결정에 있어 선택권은 누구에게 있는 가에 대한 문제도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환자와 의사뿐 아니라 가족들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 중 무엇보다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환자 스스로의 의사결정권이며, 이를 존중하고 보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사전의료지시서의 제도적 정착이 필요하며, 존엄한 죽음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문화의 형성이 마련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 1

    Ⅱ. 연명치료중단의 필요성과 의미 = 4

    1. 연명치료중단의 필요성 = 4

    2. 연명치료중단의 의미 = 8

    가. 연명치료중단 = 8

    나. 무의미한 치료 = 9

    다. 심폐소생술금지 = 12

    Ⅲ. 연명치료중단의 결정권 = 14

    1.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결정 주체 = 14

    2. 환자의 자기결정권 = 15

    가. 자율성의 개념 = 15

    나. 자율성존중의 원칙 = 16

    3. 의사결정능력이 없는 환자를 위한 의사결정 = 22

    가. 대리의사결정 = 23

    나. 순수자율성 = 24

    다. 최선의 이익 = 25

    Ⅳ. 환자 자기결정권의 방식 = 28

    1. 사전의사결정서 = 28

    2. 사전의사결정서의 유형 = 29

    가. 특정조치 요청 = 29

    나. 대리 결정자 지명 = 30

    다. 가치관 표명 = 30

    라. 복합적 형태 = 31

    3. 사전의사결정서 도입의 필요성 = 31

    V. 결론 = 33

    참고문헌 = 35

    Abstract = 3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4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과 자기결정권 2009  221
    244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
    244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2445 8 환자 의사 관계 공동의사결정에서 의사결정 코칭(Decision Coaching)의 함의/이은영 2015  221
    244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재민 2010  221
    2443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 이일학 2010  221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환자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권세희 2009  221
    2441 2 생명윤리 생명권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비교법적 고찰 / 정금지 2010  220
    2440 14 재생산 기술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 문미혜 외 2008  220
    243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2438 5 과학 기술 사회 다국적기업에 의한 인권침해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 이상수 2014  220
    2437 20 죽음과 죽어감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 김은정 2016  220
    2436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20
    2435 9 보건의료 미디어의 메르스 보도 프레임 비교 / 권신혜 2016  220
    2434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2433 18 인체실험 황우석 연구에 대한 IRB의 윤리적 감독의 부적절성 / 구영모 2007  220
    243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임상 의사들의 경험 연구 / 신영태 2010  220
    243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시대에 교양 교육의 의미 : 하이데거의 「휴머니즘 서간」을 중심으로 / 서동은 2019  219
    2430 9 보건의료 임상시험 직접의료비용 분석 연구 : 간세포암 프로토콜 사례 분석 중심으로 / 정혜란 2016  219
    2429 9 보건의료 의료보건용역 관련 부가가치세 과세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임상시험용역을 중심으로 / 김향연 2018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