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4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문화인류학 Vol.43 No.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7770138 

연구논문 :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 Is Suicide among Rural Women in China a Form of Resistance?: A Critical Review of Western Discourses about Resistance and the Anthropological Analysis of Suicidal Behavior in Rural North China




초록 ( Abstract )

  • 최근 중국은 젊은 농촌 여성들의 빈번한 자살로 인해 역사상 유례없이 여성의 자살률이 남성보다 높은 국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은 학자들과 사회단체들은 지난 수십 ...
  • 최근 중국은 젊은 농촌 여성들의 빈번한 자살로 인해 역사상 유례없이 여성의 자살률이 남성보다 높은 국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은 학자들과 사회단체들은 지난 수십 년간 중국 정부의 개혁 정책이 만들어 낸 부정적인 영향의 결과라고 주장해왔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본 논문은 먼저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을 시장개혁 시기 이들이 처해 있는 고통스러운 삶의 조건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하는 두 편의 논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각각 제임스 스콧과 미셸푸코의 저항 개념에 기대고 있는 이 논문들은 중국의 농촌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해 온 구조적 어려움들에 대해서 바르게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자살 행위가 가질 수 있는 저항적 성격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여성 개개인이 자살을 문제해결 방식으로 선택하기까지 경험하는 다양한 개인적 삶의 맥락 및 과정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서구의 저항 개념에 의존함으로써, 다수의 중국인들이 자살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있는 저항의 의미를 구별해 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살 선택에 영향을 주는 중국 사회의 규범과 믿음 체계에 대해서 간과하고 있다. 한편, 연구자가 북 중국 농촌 마을에서 수집한 여성의 자살 행위에 관한 민족지적 자료들은 저항적 성격을 강조하는 학자들의 논의와는 사뭇 대비되는 사실들을 드러낸다. 자료에 근거해 볼 때, 농촌 여성들의 자살 행위는 분명히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구조적인 고통의 맥락을 보여 주지만, 그렇다고 해서 각각의 자살 행위가 반드시 저항적 동기를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의 자살 행위는 자살을 시도하게 되기까지 각각의 여성들이 겪어 온 특수한 삶의 과정과 맥락, 그리고 그 안에서 형성해 온 다양한 감정적 경험들을 드러내 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중국 농촌의 여성 자살을 저항으로 해석하는 것은 과도한 일반화일 수 있으며, 자살 행위에 관한 민족지적 현실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33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32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31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24
    30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통합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전미숙 2017  618
    2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 예방 캠페인이 자살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HBM)을 중심으로 / 이주민 2017  277
    2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20
    2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39
    2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11
    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92
    2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주 형법상 자살관여행위 규제에 관한 입장과 그 시사점 / 임정호 2014  382
    2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664
    »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 이현정 2010  148
    21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71
    20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19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
    1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17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16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8
    1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2015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