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학연구 Vol.40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16801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The Parent-Child Suicide Pact' and the Concept of the Family in East Asia : A Cross-Cultural Approach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초록 ( Abstract )

  • 본 논문은 소위 '부모-자녀 동반자살'이라고 불리는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이 동아시아의 유교주의적 가족 관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
  • 본 논문은 소위 '부모-자녀 동반자살'이라고 불리는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이 동아시아의 유교주의적 가족 관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비교 작업은 관련 문헌과 신문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족 관념과 연관된 정치적 경험, 사회경제적 조건, 가족 구조의 형태, 그리고 문화적 특성 등도 함께 고려되었다. 분석의 결과,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의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서로 다른 역사적·정치적 경험으로 인하여,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가족동반자살'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중국 사회의 경우 타인에 대한 '살인'의 측면이 더 부각된다. 둘째, 한국과 일본에서 '가족동반자살'이 더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이유는, 일찍이 외부 사회로부터 독립적인 핵가족 제도를 확립해 온 두 나라에서 부모의 위기 상황은 곧바로 가족 전체의 존립 문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반면, 핵가족 외부의 상호의존 관계를 지속적으로 활용 해 온 중국의 경우, 부모의 위기가 곧바로 자녀의 위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셋째, '부모-자녀 동반자살' 현상은 무엇보다 제한적인 외부의 지원 속에서 남녀의 분리된 가족 내 성역할과 그러한 성역할에 기초한 정체성을 특별히 강조해 온 핵가족 구조와 이에 기초한 가족 관념의 위기를 드러내고 있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서론

    한국의 '가족동반자살'

    일본의 '친자심중'(親子心中)

    중국 문화권(중국, 대만, 홍콩)에서의 '가족자살'(家族自殺) 또는 자녀살해 후 부모자살

    결론: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의 가족 관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248 13 인구 저출산 극복을 위한 선교적 과제 : 출산과 재출산을 위한 살림의 신학 / 박은주 2017  333
    3247 17 신경과학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혜민 2016  333
    324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적 문제와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방향 / 이순환 2016  333
    324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유전자 알고리즘 / 유성민 2016  333
    3244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이호균, 박종훈, 정상영, 최수진나 2012  333
    324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이현선 2015  333
    3242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문화적 접근 -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 / 계봉오 외 2016  332
    3241 9 보건의료 진단서의 증명력 : 상해진단서를 중심으로 / 이동진 2017  332
    3240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2
    3239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3238 9 보건의료 병원 공간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특성 연구 / 허지나, 이수진 2014  331
    3237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31
    3236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1
    323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3234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3233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2007  330
    3232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3231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323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9
    3229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