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현대중국연구 Vol.12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11737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Contents : Mental Health Care as a Field of Hegemonic Contestation: An Ethnographic Study on Suicide Prevention Approaches of a Feminist NGO and a Psychiatrist Group in Reform China





초록 ( Abstract )

  • 2003년 사스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들어 중국 사회의 건강, 질병, 의료의 문제는 의학적 차원을 넘어 개혁정부의 정치행정과 안보문제, 나아가 경제활동의 성격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
  • 2003년 사스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들어 중국 사회의 건강, 질병, 의료의 문제는 의학적 차원을 넘어 개혁정부의 정치행정과 안보문제, 나아가 경제활동의 성격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1999년 세계보건기구의 발표 이후, 중국의 자살문제를 둘러싸고 두 사회 집단-NGO 농가녀문화발전중심과 북경심리위기연구예방중심-이 중국 내 자살문제의 진단과 예방에 관한 헤게모니를 둘러싸고 경합해 온 지점과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농가녀문화발전중심은 전국부련의 여성주의적 관점 및 대중 활동의 전통 속에서 농촌 여성의 자살 및 이들의 성차별 적 상황에 초점을 두고 마을 공동체에 기반한 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반면, 북경심리위기연구예방중심은 서구의 생의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자살자 개인의 정신병리학적 원인에 주목해왔으며 약물치료와 상담치료를 포함한 정신의학적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흥미로운 점은 2000년대 초반까지 자살문제의 공론화 및 예방프로그램 마련에 있어 상호 공조적인 관계를 유지하던 두 집단이 2003년 중반 중국 정부가 정신의학적 관점을 축으로 하는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분열을 겪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정부의 선택은 국제적 압력 및 근대화의 요구, 그리고 정치적 위험 모면이라는 다면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정부, NGO 및 의료전문가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중국 사회 내 자살에 대한 헤게모니적 이해방식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으로부터 점차 개인적이고 의학적인 내용으로 변화해왔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25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5
    24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2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21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5
    20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18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4
    17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16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9
    15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14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3
    13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12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0
    1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10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4
    9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치료 중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미옥 외 2016  57
    7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