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9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의료윤리 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91648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초록 ( Abstract )

  • 본 논문은 생명윤리학의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주요한 방법론 중 결의론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실제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
  • 본 논문은 생명윤리학의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주요한 방법론 중 결의론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실제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명윤리학의 주요한 과제와 이에 따른 생명윤리학의 분화를 검토하고, 그 중 특히 임상윤리학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생명윤리학은 임상현장이라는 구체적인 현실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주목함으로써 발전하게 되었다. 의학지식과 기술이 발전하게 되어 이전에는 치료를 포기하였을 상태에 처한 환자를 치료할 수 있게 되자 이들 환자에 대한 정의로운 대우가 관심을 끌게 되었다. 한편 사회가 다원화 되어 의료에 대한 개인의 요구가 상호 충돌하게 됨으로써 의료행위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복잡해졌다. 이런 복잡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의 윤리성을 보장하고 실천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등장한 윤리적 접근법이 생명윤리학(bioethics)이다. 생명윤리학자들은 철학적, 법적 논의를 통해 이 학문이 내적으로 합리성을 갖추는 동시에 임상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응용윤리학의 하나로서 생명윤리학은 구체적인 임상사례의 의사결정에서는 몇 가지 방법론을 시도하고 있다. 개념과 가치를 다루는 분야로서 임상윤리학은 철학적 방법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의사결정과정에서 주요하게 사용된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임상윤리학에서 주로 활용된 방법론인 원칙주의(principlism), 반성적 평형(reflective equilibrium) 등은 사례의 구체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도덕적 판단의 대부분은 이전의 경험과 판단을 근거로 추론하는 결의론적 판단이다. 결의론적 판단을 활용하는 것은 실천적 측면에 집중하는 것이지만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의 부정적인 영향이 존재하게 된다. 임상윤리학은 철학적 고찰뿐 아니라 경험적인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이를 극복하려 하였다. 이런 경험적인 연구를 수용하는 방식으로서 결의론은 사례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고 축적된 경험을 통해 일반화 가능한 지식을 구축하는 도덕적 의사결정 방법의 일부이며 본 논문에서는 툴민과 존슨의 정의를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전형적 사례와 유비에 근거한 사유 절차를 활용하여 특별한 도덕적 의무의 존재와 엄격함에 관한 전문가적 입장을 형성하게 되는 도덕적 문제의 분석이다. 이때 도덕적 의무는 규칙이나 준칙의 틀로 제시되는데, 이것은 행위의 맥락이나 행위자의 특정한 조건에 있어서만 분명한 것으로 일반적[구속력을] 가지나 보편적이거나 불변의 것은 아니다" 결의론은 중립적 행위에 대한 도덕적 지침 제공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사례의 구체적인 측면과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를 분류한 후 이들 범주의 패러다임 사례와 이들의 준칙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런 검토는 패러다임 사례의 준칙이 어느 정도의 정당성을 지니는지 개연적인 판단을 제공한다. 결의론은 분류와 패러다임 사례를 확인하고, 도덕 형태학, 분류와 유비를 통해 사안에 대한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비판을 살펴보고 이 비판에 대한 가능한 반론과 결의론의 가장 취약점인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보완한 비판적 결의론을 제안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29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5
    2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27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26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25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24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3
    23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
    2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보호 증대방안에 대한 고찰 / 이미성 2011  293
    21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88
    20 18 인체실험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 임인애 2008  276
    19 23 연구윤리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문성원 2019  268
    1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2017  243
    17 18 인체실험 침구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과정에서 IRB의 윤리적,과학적 지적사항 사례 조사 연구 / 임정태 외 2015  237
    16 18 인체실험 한국과 일본의 임상시험 현황과 임상연구자 인식의 비교 연구 / 홍정화 2009  230
    15 18 인체실험 공동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반 조성 및 운영 방안 / 오정민 2009  227
    »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 이일학 2010  221
    13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1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연구자의 주의의무 / 김수영 2015  206
    1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이상반응의 IRB 보고 체계와 심의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이도윤 2012  205
    10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2017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