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의료법윤리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222879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임상 연구의 심의 과정에서 적용되는 개념인 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규정을 검토하여 최소한의 위험 판단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적용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
  • 본 연구는 임상 연구의 심의 과정에서 적용되는 개념인 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규정을 검토하여 최소한의 위험 판단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적용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최소한의 위험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관련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논의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주요 규정 및 지침에 반영되어 있는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사항들을 정리하여 국내 현 규정의 부족한 부분을 제안하였다.임상시험심사위원회가 최소한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때에 여러 가지 해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우리들 모두가 경험하는 종류의 일상생활이나 일상 검사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절대적 해석에 따르는 것이 가장 일관된 위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일부 사람들이 부당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최소한의 위험을 약간 넘는 위험의 개념은 소아 대상 연구에서 적용되며,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의 실험적 특성으로 인하여 치료적 혹은 비치료적 연구로 이분하여 판단할 경우 피험자의 안전과 복지를 보호하는 데에 한계가 발생하므로, 각 연구가 포함하는 여러 중재 절차들 각각을 고려함으로써 위험과 잠재적 이익을 비교 판단하는 것이 합당하다.이와 같은 논의의 결과가 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판단 기준을 세우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나, 대부분의 국내/외 규정과 지침들은 위험과 이익의 평가에 대한 원칙적 사항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주요 기관들의 표준작업지침서 역시 이에 대한 고찰 및 적용이 미흡한 상태이다.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판단이 사회에 따라, 또는 연구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개념의 구체적 정의를 내리고 어떤 해석 방법에 따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지를 결정하여 실제 임상 연구의 심의 과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이는 피험자의 안전과 복지를 보장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 단계인 위험/이익 평가가 합리적이고 일관적으로 수행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213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소아의 권리보호방안 모색 / 김진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1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210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09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205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생명윤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2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2

    16 환경 기후변화와 키메라현상에 대한 계층 간의 관계인식 / 백정애

    발행년 2011 

    • 조회 수 202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1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92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발행년 2007 

    • 조회 수 179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발행년 2011 

    • 조회 수 168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발행년 2006 

    • 조회 수 161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5

    18 인체실험 책임에 근거한 임상연구자 윤리 / 이경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7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발행년 2002 

    • 조회 수 146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2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37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6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