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의료윤리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228349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lemma of a physician's role related to the autonomous decision-making of terminal patients : regarding to hospice care





초록 ( Abstract )

  • 본 논문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두 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말기 환자를 치료...
  • 본 논문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두 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환자 상태 및 예후에 대하여 그리고 호스피스에 대한 정보를 충분한 설명을 통해 고지하고, 말기 환자가 자율적으로 호스피스를 받을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호스피스전문 의사들이 「말기 환자의 호스피스 선택결정에 따라 다른 의료인들과 상의하여 팀 서비스로서 말기 환자와 가족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의사들이 두 가지 단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적극적인 참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의사들이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낮고 불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어서 이러한 의사들이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을 수행 하는 것과 관련하여 딜레마가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한 가지 딜레마는 "의사들이 먼저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해아 하는데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이다. 또 다른 한 가지 딜레마는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충분한 설정을 통하여 말기 고지를 해야 하는데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이다. 본 논문은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에서 발생하는 두 가지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에서 말기 환자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전의사결정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우선, 첫 번째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의사들의 입장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호스피스를 의료와 무관한 것으로 이해하는 의사, 2)호스피스를 안락사로 이해하는 의사, 3)호스피스를 치료포기로 이해하는 의사. 이러한 입장의 의사들이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되는 근거로서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말라"는 악행금지의 원칙을 살펴보았다. 정당성을 고찰하는 논의 과정에서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바람직한 역할과 의무는 말기 환자가 자율적으로 호스피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두 번째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입장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의사가 가장 어려워하는 입장이 직접 고지에 대한 보호자의 반대가 있는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되는 근거로서 환자의 '알 권리'와 '환자의 선택권'을 살펴보았다. 정당성을 고찰하는 논의 과정에서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바람직한 역할과 의무는 말기 환자 및 보호자와 진실한 대화를 하여, 말기 환자의 옹호자가 되고 말기 환자와 보호자 사이에서 중재자가 되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 가지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에서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들이 첫 번째 단계에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이 있었다. 그것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호스피스 선택시기를 언제,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와 말기 고지에 대한 말기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를 미리 파악하는 것과 관련된 고려사항이었다. 이를 위해서 사전의사결정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왜냐하면 이 제도에 의해서 말기 환자의 자율성이 존중되어 바람직한 호스피스가 정착될 것이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688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42
    68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4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685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4
    684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4
    683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44
    68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5
    68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6
    680 9 보건의료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보험수가 분석 / 김현진, 김세연 2015  546
    679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46
    678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7
    677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강기호 2015  547
    676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675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8
    674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67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2013  548
    67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윤리 교육에서 영화 및 역할극의 이용가능성 및 효과성 비교/정석희, 신자현 2015  548
    671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8
    670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49
    669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