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연구 No.2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91564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Anthropological Meanings of the Human Body for Reflections in Bioethics





초록 (Abstract)

생명윤리 성찰의 주제가 되는 많은 행위들은 주로 생의학 · 생명공학 분야에서 인간의 몸에 대해 이루어지는 행위들이다. 그래서 이 행위들에 대한 윤리적 평가는 인간의 몸을 어떻게 바라보느냐 하는 관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이런 생명윤리 성찰의 기초 작업으로서 인간의 몸에 대한 인간학적 고찰은 인간과 몸의 관계에 대한 고찰에서 이루어진다. 그 고찰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두 가지 관점은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과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이다.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에서 몸은 인간의 정신세계와 완전히 분리되어 순전히 물질적이고 생물학적인 존재로 파악된다. 몸은 물질로 되어 있고 물질로서의 가치, 즉 도구적 가치만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것은 소유와 사용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소유주의 자유로운 결정에 따라 신체의 일부분에 대한 변형 · 사용 · 양도 · 매매가 가능하다. 반면에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은 단일한 존재이며 몸은 인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인간의 비물질적 차원과 하나를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몸은 그 사람과 같은 운명을 가지며 같은 가치를 공유한다. 따라서 몸은 단순히 물질이나 도구처럼 다루어질 수 없고 오히려 온전한 인간의 가치를 인정받고 존중받아야 한다. 따라서 몸을 사용이나 매매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용인되지 않는다. 인간을 존중하는 첫째 방식이 바로 그 사람의 몸을 존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명윤리 분야에서 행해지는 여러 가지 행위들은 인간의 몸을 훼손하거나 사물처럼 다루는 일이 없이 전인적 관점에서 온전히 인간을 존중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인간의 몸에 관한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

    Ⅲ.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에 대한 비판

    Ⅳ. 인간의 몸에 대한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

    Ⅴ. 나가는 말

    참고 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2387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의료 플랫폼 활성화 관점에서 본 개인건강기록(PHR) 관련 최신 연구동향 / 김동현 외 2018  214
    2386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2385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2384 15 유전학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권혁찬 2011  214
    2383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유통 규제 및 주요 법적 문제 / 임혜연 2016  214
    2382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2001  214
    2381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14
    2380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2379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의 미래/ 박찬국 2018  213
    2378 1 윤리학 윤리적 선택과 판단의 기로에 선 인간의 윤리 원칙에 대한 성찰 / 유혜숙 2012  213
    2377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13
    23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3
    2375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3
    2374 4 보건의료 철학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윤지 2019  212
    2373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12
    2372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하유리 2016  212
    237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2
    2370 9 보건의료 "소아청소년 환자 진료에서의 윤리적 고려"에 대한 논평/구영모 2015  212
    2369 9 보건의료 한·양방 의료 사이에서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관한 고찰/박철 2015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