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Healthcare Provider's Spiritual Care for the Holistic Healing


RISS 서지확인 : http://www.riss.kr/link?id=A100273640




초록 (Abstract)

"앓는 이들을 고쳐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마태 10,8) 라는 예수님의 말씀처럼 가톨릭교회는 병자들에 대한 봉사를 교회의 주요 직무 가운데 하나로 여기고 있다. 환자의 고통에 전인적으로 응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환자, 즉 인간을 전인적 존재로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의 모상으로서 인간이 창조되었다고 고백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인간이 영, 혼, 육으로 나눠진 부분의 집합체가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부분들이 상호 영향을 끼치고 있는 하나의 전체로서의 전인적 존재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교 신앙은 인간 창조의 순간 하느님의 숨결이 함께 하였음을 고백함으로써 인간이 하느님과 초월적으로 연결된 영적 존재임을 고백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는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육체-정신-영혼의 상호 통교 아래에서 영의 본질적이며 초월적인 의미를 추구하고 사는 심오한 일체성을 갖춘 통합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 의료 현장에서는 이러한 인간 이해가 바탕이 된 전인적 치유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과학화·전문화·분업화된 의료는 환자를 의료행위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으로 취급하게 되었고, 환자는 질병에 대한 기계적인 치료만을 받게 됨에 따라 질병 경험에 따른 근본적인 불안과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복음은 우리에게 전인적 치유의 모델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잘 전해주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공생활 가운데서 늘 병자들을 돌보셨으며 그들을 향한 자비와 사랑을 거두지 않으셨다.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는 겟세마니 동산에서 고통 가운데 기도하시면서 고통 중에 있는 이들이 무엇을 갈망하고 있으며, 이들을 온전히 치유하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한 육체적 치료 외에도 영적인 돌봄이 함께 병행되어야 함을 일깨워주셨다. 예수 그리스도는 당신이 만나는 모든 사람들을 언제 어디서나 고쳐주셨고, 이들의 아픔에 극진한 사랑과 연민의 마음으로 함께 하심으로써 육체적 질병뿐만 아니라 전인적 치유를 위한 영적인 돌봄도 함께 베풀어주셨다. 또한 십자가의 수난을 겪으시고 부활하심으로써 각자가 안고 있는 고통을 마주하는 가운데서 하느님과 하나 되는 구원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해주셨다. 그리고 병자들과 함께 하시며 그들을 치유하시는 가운데서도 기도를 잊지 않으심으로써 당신의 모든 행위를 성부 하느님의 역사하심으로 성화시키셨고 기도가 가지는 거룩한 힘과 끝없는 위로를 우리에게 알려주셨다. 이제 오늘날 의료인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자리해야 하는지가 분명해졌다. 그들은 육체적·정신적 질병만을 치료하는 사람이 아니라 영적인 돌봄도 아끼지 않는 전인적 치유를 지향하는 돌봄 제공자로서의 의료인이 되어야 한다.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서처럼 자비로운 마음과 연민의 마음으로 고통 중에 있는 이들 곁에 머무르는 따뜻한 동반자로서 하느님을 도와 하느님의 사랑을 전달해야 한다.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치유의 능력을 발휘해 병을 직접 치료해주어야 하며, 하느님의 치유가 자리할 수 있도록 인격적인 친밀함 가운데 환자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위로와 격려를 베풀어야 한다. 환대의 미덕을 통해서 그들에게 자신을 온전히 개방하여 고통 가운데서 버림받음과 소외됨을 느끼지 않도록 돌보아야 한다. 그리고 기도와 돌봄을 통해서 그들을 향한 하느님의 현존과 사랑을 드러냄으로써 희망을 잃어버리지 않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료인 스스로가 상처받은 치유자임을 인식함으로써 하느님과 깊은 관계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자신 또한 똑같은 영적인 돌봄을 필요로 하며 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 한 명의 상처받은 인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하느님의 사랑과 연민을 그들에게 전해줄 수 있다. 그리고 바로 그때 고통이 가져다주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넘어서서 진정한 구원을 향한 길, 전인적 치유를 향한 길로 그들을 이끌어 줄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인간의 존재론적 구조-그리스도교적 인간관

    Ⅲ. 오늘날 의료현장의 현실과 영적 돌봄의 필요성

    Ⅳ. 영적 돌봄의 모델이신 예수 그리스도

    Ⅴ. 치유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재현하는 의료인의 모습과 역할

    Ⅵ. 결론

    참고문헌

    초록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4
    » 1 윤리학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노현기 2015  252
    21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6
    21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7
    214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2
    213 16 환경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배현아 2015  327
    212 16 환경 중국 지역 간 건강 수준 차이 원인에 관한 연구 :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와 흑룡강성(黑龍江省) 사례 비교 / 허신, 강민아 2015  328
    211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210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20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7
    208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20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206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6
    205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2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1
    20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1
    2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
    20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2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19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