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A Christian Moral Theological Consideration for the Clinical Trial Ethics



RISS 서지확인 http://www.riss.kr/link?id=A100273642



초록 (Abstract)

임상시험은 그 목적이 인간의 질병치료이면서 동시에 이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시에 그 연구 대상도 인간이고, 이를 연구하는 주체도 인간이다. 한편 의학과 과학기술은 인간을 위한 목적에 이용되는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그러므로 의학과 과학기술을 그 수단으로 하는 임상시험은 인간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이익을 가져올 수단을 검증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인류는 임상시험이라는 수단이 인간의 기본 권리인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임상시험윤리를 제정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부 임상시험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입장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하느님께서 부여해주신 천부인권이기에 그 어떤 인간적 가치들보다도 우선시 된다.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되었고, 생명을 하느님께로부터 부여받았기에 존엄하며 다른 인간적인 모든 가치들은 이에 종속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인간의 존엄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가톨릭교회는 하느님께서 내어주신 것을 선물로 여기며 소중히 다루도록 요구한다. 임상시험에 대해 가톨릭교회가 타인을 위한 자기 증여를 애덕의 고상한 증거로 여기지만 재물에 집착하거나 생명에 대한 침범을 경고하는 것은 생명과 재물의 주체가 인간이 아닌 하느님이시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입법화된 임상시험윤리의 몇몇 부분들과 여러 윤리지침은 연구자의 양심적인 준수와 판단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해 가톨릭교회는 양심은 하느님께서 부여해주신 능력이기에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이해

    Ⅲ. 임상시험윤리의 체계화와 법률화

    Ⅳ. 임상시험의 문제점들

    Ⅴ. 임상시험윤리의 중심이 되어야 할 요소들

    Ⅵ. 임상시험윤리의 기본원리들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Ⅶ. 임상시험윤리기준에 대한 윤리 신학적 고찰

    Ⅷ.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28 9 보건의료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 / 강군생 외 2017  241
    2627 18 인체실험 사람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이식 가능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효율적 분화 / 이용희 2009  241
    2626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우리나라 성인의 인식 조사/권복규 2015  241
    2625 15 유전학 정치철학자 샌델의 유전공학윤리에 대한 책을 번역하고 나서/강명신 2011  241
    262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 엄인향 2014  240
    2623 15 유전학 유전자조작벼 상용화의 법적 문제 / 김은진 2017  240
    262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자긍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미정 2013  240
    2621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2015  240
    2620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261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법제화 방안 / 전수범 2010  240
    261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40
    2617 5 과학 기술 사회 IoT 중심의 사회복지시설 정보화 현안과 정책 과제 / 이연희 외 2016  239
    2616 1 윤리학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이문재 2018  239
    2615 2 생명윤리 대학생의 공감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연관성 / 위지희 2017  239
    2614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교감하는 감성로봇 관련 기술 및 개발 동향 / 김평수 2016  239
    2613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9
    2612 12 낙태 한국 출산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본 IUD 보급에서 IVF 시술비 지원까지 / 이연숙 외 2015  239
    2611 15 유전학 연구논문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윤나 2015  239
    261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 행위에 미치는 효과 / 김병철 2011  239
    2609 15 유전학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연구 동향 / 정주원, 오선경, 최영민 2014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