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7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문학연구 Vol.47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95968 

기획특집: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Between Bioethics and Biopolitics -Focused on the Abortion-





초록 (Abstract)

이 글은 낙태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논의에 대한 핵심적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한국 사회에서의 낙태에 대한 생명 정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전통적인 도덕이론을 대표하는 칸트의 도덕철학적 접근과 여성주의에서 논의 되고 있는 낙태에 대한 윤리적, 정치적 논의들에 대해 검토해 본다. 칸트주의자들은 인간 존엄성 사상을 근거로 하여 임산부와 태아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의 입장을 서로 바꾸어 보편화시켜 반성해 볼 수있는 도덕적 추론을 할 수 있는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유주의 여성주의자들은 낙태를 여성의 신체적 자율성을 기초로 한 사적인 선택의 권리로서 보았지만,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은 이 문제를 사적인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제도적 차원에서 성적 불평등과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정치적 이슈로서 접근하였다. 최근 여성주의자들은 성과 임신, 출산, 양육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보는 여성의 재생산 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재생산 정책과 제도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에서 낙태현상은 성과 임신, 출산, 양육으로 지속되는 여성 개인의 삶의 과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그 시대의 생명정치, 즉 인구조절정책과 사회적 제도 그리고 문화적 관행 등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낙태현상에 대한 윤리적 논의를 하기 이전에 여성의 낙태 경험을 결국 사회적 문화적 권력 관계가 작용하는 생명정치라는 틀 속에서 개인이 겪는 실존적, 사회적 고통의 한 양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글은 생명을 잉태하는 모든 여성의 성과 임신과 출산성을 존중하고, 태아를 지키고 양육할 수 있는 사회적 돌봄을 실천할 수 있는 여성중심의 재생산정책이 중요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사회적 제도적 조건을 만드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9
26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0
25 18 인체실험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김명심 2015  310
24 9 보건의료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 김기흥 2015  124
2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22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1
21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9
20 1 윤리학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박선영 2016  196
19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18 1 윤리학 미셸 푸코의 통치성 개념 연구 / 김정경 2016  632
1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16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15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5
14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041
13 15 유전학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 유전자 결정론과 생명계급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574
»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5
11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10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9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8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