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윤리문화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680909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ofessionalism of korean dentist and model development of medical ethics


  • 저자 : 김이겸
  • 형태사항 : iii, 63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59-61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윤리문화학과 2004. 8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4
  • 주제어 : 의료윤리, 치과의사, 전문직업성



초록 (Abstract)

  • 전문직업인으로서 치과의사가 현실적으로 만나게 되는 의료윤리의 문제는 일반 생명윤리의 문제와는 그 성격이 많이 다르다. 일반 생명윤리에서는 낙태, 안락사, 배아복제 등 생명과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주로 다루지만, 치과 의료윤리에서는 환자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인간적 문제를 주로 다루게 된다. 그래서 그 내용에 있어서도 일반적 이슈로 떠오르기 보다는 개인적 수준에서 해결되는 문제가 주종을 이룬다. 예컨대 치료계획에 있어서 국부의치를 사용할 것인지 임플란트를 사용할 것인지의 문제는 환자와 의사의 상담을 통해서 결정될 문제지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치과에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이렇게 공론화되지도 않기 때문에 사회적인 문제로 이슈화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점에서 치과 의료윤리의 필요성은 더욱 요구된다.
    그리고 치과 의료윤리는 치과의사의 행동 자체를 변경하거나 거기에 대해 제약을 가하려고 하기보다는 치과의사의 심성을 함양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치과의사의 심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과의사나 예비치과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각종 소양교육이 그 구체적 방법이 될 터이지만, 지금의 상황에서 그런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치과의사의 윤리적 덕목은 치과의학으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그것은 다양한 삶의 경험과 건전한 가치의식에서 나온다. 따라서 첨단 치료기술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그 첨단 치료기술의 적용대상인 환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하고 이해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아무리 인간적 덕목을 함양하고 건전한 가치의식을 강조한다고 해도 모든 치과의사가 윤리적으로 행동하지는 않는다. 윤리가 덕(德)만으로 완성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도덕적 행동을 위해서는 구체적 행동의 지침이 요구된다. 그래서 우리는 덕 윤리 뿐 아니라 행동윤리를 필요로 한다. 행동윤리에서는 행위자의 행동 하나하나를 그 판단 대상으로 삼아 규제한다. 우리는 치과의사의 윤리라는 선언적 문서는 가지고 있지만 아직 이처럼 구체적인 행동윤리지침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다. 지침이 없을 뿐 아니라 아예 윤리문제에 대한 논의조차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적 상황에서 필요한 치과의사의 윤리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전문직업으로서의 치과의사의 윤리의 모형을 전통적인 생명의료윤리와의 관련 속에서 이끌어 내어 그것을 한국적인 상항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보았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37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6
    36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3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34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77
    3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9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2
    31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50
    3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29 9 보건의료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에 관한 결정 : 유보, 중단을 중심으로 / 김아진 2014  310
    2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임상 의사들의 경험 연구 / 신영태 2010  220
    2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인식과 실천 조사 / 이윤영 2004  297
    2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24 8 환자 의사 관계 외래환자와 의료진의 공유의사결정과 의사소통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 'S' 대학병원 일부 외래 의료진의 인식 / 김미선 2010  290
    2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89
    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4
    2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1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