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4407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rality of an Euthanasia


  • 저자 : 김혜진
  • 형태사항 : iii, 50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 전공 2000. 8
  • KDC : 194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0
  • 주제어 : 안락사, 의료윤리, 호스피스, 도덕성, 국민윤리




초록 (Abstract)

  • 과학의 발달과 함께 진행되어온 의료 기술의 발달은 과거에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던 대부분의 질병을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 과학과 의학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여전히 늙고, 병들어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이한다.
    의학적으로 해결해내지 못하는 질병과 고통들을 안락사라는 자연스럽지 못한 죽음을 원하게 만들었다. 회복될 수 없거나 불치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환자의 죽음을 유발시키거나 허용하는 관행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안락사는 고대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술되어져 왔고, 최근에는 네덜란드, 스웨덴 등의 서구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적으로 제도화되기에 이르렀다.
    안락사 문제는 뇌사 판정과 장기 이식의 필요와 맞물려 많은 논쟁을 낳고 있다. 안락사의 도덕성 문제에 대한 쟁점은, 안락사 시술의 의도가 남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순수한 마음이라 하더라도, 과연 생명을 인위적으로 종식시켜가면서까지 고통을 덜어주려는 것이 과연 도덕적으로 옳은가 하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안락사 개념의 모든 의도와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안락사 시술의 엄격한 기준은 결정되어야 한다. 안락사 시술의 결정은 오직 환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논의되고 결정되어야 하고, 오진이나 오판의 경우를 막을 수 있는 적절한 구조적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안락사의 대안으로서의 호스피스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시키며, 호스피스 활동의 범위와 영역을 전문화시키고 확장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말기 환자의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한 의료적 연구와 신경정신학적 연구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하고, 그 가족을 위한 사회적 배려의 방법도 강구되어야 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66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471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 조홍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471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에 대한 제언 : 국내외 인증기준 상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실질적 방안을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73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발행년 2014 

    • 조회 수 475

    2 생명윤리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성혜, 남명진

    발행년 2009 

    • 조회 수 478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 권복규, 안경진

    발행년 2007 

    • 조회 수 48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발행년 1998 

    • 조회 수 485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발행년 2014 

    • 조회 수 489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491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발행년 2017 

    • 조회 수 494

    14 재생산 기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신옥주

    발행년 2013 

    • 조회 수 495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발행년 2009 

    • 조회 수 495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발행년 2014 

    • 조회 수 502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발행년 2012 

    • 조회 수 505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발행년 2014 

    • 조회 수 507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발행년 1992 

    • 조회 수 507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발행년 2012 

    • 조회 수 50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발행년 2013 

    • 조회 수 509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