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192860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 (A)Study on the core issues and ethical controversies of artificial abortion

  • 저자 : 문수례
  • 형태사항 : iv, 51장 ;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7-4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2007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임신중절, 생명권, 자율권, 탐슨,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른 생명의료윤리의 교두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그에 따른 윤리적 접근방법을 고찰하고 있다. 임신중절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임신중절의 정당화에 있다. 임신중절의 도덕적 정당화에 대한 논의에는 기본 쟁점이 되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태아가 생명권을 지닌 인간인지 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태아가 생명권을 지닌 인간이라면 생명의 시작점은 어느 시점으로 보아야 하는지 따른 답변을 제시함에 있어 자유주의, 보수주의, 절충주의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부의 자율권의 상충에 관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에 있어 탐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녀는 처음부터 태아에게 성인과 동등한 생명권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임신중절의 결정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중절의 도덕성에 관한 논쟁점들을 검토하고, 공리주의, 의무론 그리고 덕 윤리에 근거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임신중절의 문제를 다른 오늘날 규범 윤리학을 주도하고 있는 이론 즉, 권리나 지위에 바탕을 둔 접근 방식인 공리주의적 관점과 의무론적 관점 그리고 덕 윤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특정한 임신중절 행위가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그것이 욕구의 만족을 극대화 하는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의무론적 분석은 태아의 발달에 있어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부터 임신중절은 도덕적으로 거의 허용될 수 없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덕 윤리에 근거하여 임신중절의 도덕성을 논하고자 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물음은 이 문제를 유덕한 사람은 어떠한 실천적 추론, 행위와 가정, 사고와 반응을 통해 해결하는가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임신중절의 핵심쟁점 4

    1. 태아의 생명권 4

    2. 생명의 시작점 5

    1) 여러 학파의 입장 5

    2) 보수주의적 입장 9

    3) 자유주의적 입장 11

    4) 절충주의적 입장 12

    3. 임신부의 권리 13

    Ⅲ. 임신중절에 대한 공리주의적 접근 18

    1. 공리주의적 분석의 기초 18

    2. 공리주의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23

    Ⅳ. 임신중절에 대한 의무론적 접근 27

    1. 의무론적 분석의 기초 27

    2. 의무론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32

    Ⅴ. 임신중절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36

    1. 덕 윤리적 분석의 기초 36

    2. 덕 윤리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39

    Ⅵ. 결론 44

    참고문헌 47

    Abstract 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0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97
    29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의 손해배상주체와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 백문흠 2019  292
    2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서의 동의 철회와 재생산 자율성의 재구성 / 유수정 2016  85
    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6
    26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4
    2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9
    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3
    23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8
    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에서의 사전의사결정(advanced directives)에 대한 도덕적 검토 / 손명세, 유호종 2001  210
    2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1
    20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19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18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3
    17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16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1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9
    14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1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3
    »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45
    11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