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8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176554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thical Problems of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 저자 : 이태관
  • 형태사항 : v, 46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3-44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2003
  • KDC : 343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3
  • 주제어 : 장기이식, 윤리문제, 뇌사




초록 (Abstract)

현대 의학과 의료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인공소생술과 생명연장 장치의 발달은 죽음의 기준을 뇌사로 주장하게 되었고, 장기이식 수술의 발달은 장기의 기증과 분배에 있어서 많은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심장과 같은 장기를 이식할 경우 그것은 사람의 생존에 불가결한 가장 중요한 장기인 동시에 오직 하나 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식할 장기는 결국 사체로부터 적출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심장사에 도달한 후에 적출할 심장을 가지고 이식해서는 그 성공률이 낮아져서 바람직한 효용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뇌사단계에서 심장과 같은 하나밖에 없는 장기의 적출이 필요하게 되어 종래의 죽음에 대한 개념의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처럼 뇌사가 논란의 대상이 되고 문제가 되는 것은 장기이식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이다. 장기이식 수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보다 신선하고 좋은 장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뇌사의 인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일정하고 통일된 뇌사판정기준에 비추어서 인간의 죽음을 판정해야 된다.
오늘날 장기이식이 활발하게 시행됨에 따라 의학 분야에서는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많은 관심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이에 우리는 장기이식에 대한 올바른 논의와 윤리적 방향이 제시되어야 한다.
우리는 어떤 행동이 도덕적인가의 여부를 판단할 때 윤리원칙들과 규칙들을 활용한다. 장기이식과 관련된 행위를 정당화하는 원칙으로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그리고 정의의 원칙 네 가지 근본적인 윤리원칙들에 의해서 고려되어진다. 장기분배의 문제도 공정하고 투명한 원칙에 의해서 분배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죽음의 정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새롭게 대두된 죽음의 판정기준인 뇌사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와 장기분배의 문제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8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9
37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2010  84
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및 인체조직 구득에 관한 공적 체계의 확립 / 김현철 2014  117
35 19 장기 조직 이식 미국 정부, 장기이식 연구에 2억 달러 투자 / 안형준 2016  131
34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문상혁 2015  195
31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30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2
29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2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3
27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
26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의 인체기증 활성화방안 : 장기, 각막, 인체조직을 중심으로 / 정봉실 2009  289
25 19 장기 조직 이식 법률상의 장기분배기준 등의 정의론적 분석 :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출범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소윤 2002  294
24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2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2
2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2008  328
21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0
2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1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1998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