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963127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education of respect for life in the curriculum of secondary education : In the focus on morals·ethics


  • 저자 : 장정훈
  • 형태사항 : ⅶ, 106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98-101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윤리교육전공 2002. 8
  • KDC : 376.54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2
  • 제어 : 중등 교육 과정, 생명 존중 교육, 도덕 교과, 윤리 교과



초록 (Abstract)

생명은 우주와 인간의 삶을 존재하게 하는 근원적 가치이다. 그런데 인간이 인류 사회를 크게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생명의 위기'라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과학 문명의 발달과 생명 공학의 눈부신 발전, 그리고 산업화로 인한 자연 생태계 파괴는 인류를 심각한 생명 위기에 몰아 넣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 자체를 과학적인 목적의 수단으로 삼아 그 존엄성을 파괴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따라서 생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다. 바로 생명 존중 교육을 강화하는 일이다.
생명 존중 교육의 방향은 네 가지 접근법 즉 인간중심적(antropozen-trisch), 감각중심적(pathozentrisch), 생물중심적(biozentrisch), 전체론적(holistisch) 접근법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접근법은 생명의 개념을 어디까지 확대하여 가르칠 것인가 하는 기본방향을 제시해 준다. 생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생명 존중 교육이라면, 생명에 대한 개념을 대자연까지 확대시켜 생명의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리라고 본다. '인간 중심적 전체론'은 바로 인간이 인간과 자연을 인식하는 주체라고 보는 인간 중심적 접근과, 식물과 동물 그리고 무생물에까지 생명을 부여하는 전체론적 접근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고라고 할 수 있다.
철학적인 측면에서 생명에 관한 견해는 동양과 서양이 뚜렷하게 구별된다. 동양에서는 생물과 무생물을 이분화하지 않고, 인간의 생명을 자연에까지 연결시켜 그 본질을 추구해 왔다. 서양에서는 근대 과학의 성립 이후로 생물체와 무생물체를 구별하였고, 주로 생물체를 중심으로 생명의 본질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서양에서도 모든 생명을 하나로 연결시켜 생명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생명 존중의 윤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먼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명 인식 조사 결과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학생들이 모든 생명을 동일하게 존중하고자 하는 의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생명에 대해 최근 논의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주로 학교 교육이 아닌 대중매체를 통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생명 존중 의식을 높이는 일이 필수적인 과제라 하겠다.
지금까지 중·고등학교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은 그 내용과 방법 면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고 본다. 내용적 차원에서 보면, 환경 보전과 인간 존중을 중심으로 강조해 왔고, 유교·불교·도교의 동양 사상을 기초로 하여 생명 존중을 가르쳐 왔다. 특히,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동양의 사상은 거의 모든 학년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현대 사회에서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생명 경시 풍조와 새로운 이슈로 제기되고 있는 생명 의료 윤리 문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행 6차 교육과정의 윤리 교과서에 간단히 소개되고 있을 뿐이다. 생명 공학의 발달로 가능해진 생명 복제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도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생명의 문제를 언급하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설명이 되어야 할 생명의 개념에 대해서도 이렇다 할 정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현대 사회의 변화를 고려하여 내용과 관련된, 적절하면서도 구체적인 사례가 필요하다.
생명 존중 교육을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 딜레마 접근법, 가치명료화 접근법, 이슈 중심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이 밖에도 도덕 교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있지만, 생명에 관한 구체적인 갈등 상황을 제시하여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딜레마 접근법은 딜레마의 형태로 제시된 도덕적 문제들에 대해 토론하는 방법이다. 콜버그의 이론에서 제시된 도덕 딜레마는 가치들이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그들에게 주어진 딜레마가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며, 몇 가지 대안을 모색하게 된다. 그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속해 있는 현재 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단계의 추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치명료화는 1950년대 말, 래스(Louis Raths)·사이몬(Sidney Simon)·하민(Merril Harmin)이 개발하고, 후에 커센바움(H. Kirschenbaum)이 수정한 포괄적인 접근법이다. 가치명료화는 학생들에게 특정한 가치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를 명료화해 나가는 데 활용하여 일관된 가치 체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우려는 방법이다.
이슈 중심 접근법은 화이트헤드(Whitehead)가 주장한 것으로 제기될 필요가 있고, 적어도 잠정적으로 대답할 필요가 있는 문제의 질문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서 질문들은 지적이고 현명한 사람들의 의견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반대되는 견해를 제시하면서 논쟁이 이끌어진다. 이슈 중심 접근법은 교사가 제기한 문제에 대하여 학생들이 지적으로 타당한 근거가 있는 대답을 하도록 가르쳐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생명 존중 교육의 이론적 배경, 현황, 그리고 개선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생명 존중 교육이 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다. 학교 현장의 특수성을 파악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의 연구·개발에 관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생명 존중 교육을 강화하여 끊임없이 실천한다면, 인류와 그 터전은 생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 목차 = ⅴ
  •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2. 연구과제 및 내용 = 3

    3. 연구방법 및 한계 = 4

    Ⅱ. 생명 존중 교육의 이론적 배경 = 6

    1. 생명의 개념과 생명 위기의 문제점 = 6

    2. 생명 윤리의 확립과 발전 = 18

    3. 생명 존중 윤리 교육의 방향 = 26

    Ⅲ. 도덕 · 윤리 교과의 생명 존중 교육 현황 = 43

    1. 중학교 학생들의 생명에 대한 인식 = 43

    2. 도덕 교과의 생명 존중 교육 현황 = 45

    3. 윤리 교과의 생명 존중 교육 현황 = 61

    Ⅳ. 생명 존중 교육의 개선 방향 = 70

    1. 내용적 차원 = 70

    2. 방법적 차원 = 75

    1) 딜레마 접근법 = 76

    2) 가치명료화 접근법 = 81

    3) 이슈 중심 접근법 = 86

    Ⅴ. 결론 = 92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505
    568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514
    56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920
    566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3
    56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76
    564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김주혁 2005  218
    563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173
    56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22
    56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307
    »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73
    55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75
    558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87
    557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2013  608
    556 8 환자 의사 관계 장애아의 출생과 의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황덕영 2008  315
    555 18 인체실험 한국과 일본의 임상시험 현황과 임상연구자 인식의 비교 연구 / 홍정화 2009  237
    554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21
    553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78
    55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41
    551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3
    550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30
    54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강미 2012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