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48422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저자 : 편혜준
  • 형태사항 : v, 73 p.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신경림
    참고문헌: p. 52-5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2012. 2. 졸업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에 따른 사전의료지시에 대한 찬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1년 11월 23일부터 12월 04일까지 서울 소재 1개 노인 대학과 5개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 노인 154명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 건강 상태, 사전의료지시에 대한 인지, 선호도, 찬성 여부, 내용 및 이행에 대한 요구 등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8.29±7.65세였다. 연구 대상자의 건강 상태는 ‘질병이 있다’고 대답한 대상자가 83.8%였으며, 지각된 건강 상태의 평균은 5점 만점 중 3.15±0.76점이었다.
사전의료지시에 관하여 ‘들어 본 적 있다’고 대답한 대상자는 79명으로 51.3%였으며, 전체 대상자의 87.7%가 사전의료지시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연장치료 찬성여부에는 ‘생명연장 치료에 반대하며, 통증만 조절하겠다’는 대상자가 85.7%였으며, ‘본인의 건강 상태에 관하여 정보 제공을 본인이 직접 받길 원한다’는 대상자가 77.2%였다. 전체 대상자의 55.2%가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할 의도가 있다’고 대답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χ2=13.01, p=.002), 성별(χ2=4.76, p=.03), 결혼 상태(χ2=9.68, p=.04), 학력(χ2=9.17, p=.02), 소득(χ2=9.77, p=.03), 동거 형태(χ2=7.24, p=.02), 가족 내 최종 의사 결정을 하는 사람(χ2=7.07, p=.01)과 사전의료지시 찬성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 찬성여부는 3년 전과 비교한 건강 상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2.29, p=.03).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전의료지시에 대한 찬성과 작성 의사가 과반수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 현장에서 사전의료지시 제도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노인의 사전의료지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연령, 성별, 결혼상태, 학력, 경제수준, 동거형태, 가족 내 의사 결정자와 같은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에게 개별화된 접근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248 14 재생산 기술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환아 어머니의 임신유지 경험 / 임유미 2014  219
2247 14 재생산 기술 배아복제 논의에 있어서 단정적 태도와 오류가능성 인정 태도 / 유호종 2005  219
2246 14 재생산 기술 고연령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출생 체중: 분포와 특징 / 조기현 2014  219
2245 14 재생산 기술 직장내 여성 차별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판례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성중탁 2016  219
2244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2243 15 유전학 유전자 도핑(Gene Doping)의 윤리적 쟁점과 대응방안 / 김지호 2015  219
2242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과 형법의 인간상 / 김한균 2018  219
2241 19 장기 조직 이식 투석이 필요한 상태의 뇌사 공여자로부터 신장이식 결과: 27례 / 이주연 2015  219
2240 9 보건의료 의료보건용역 관련 부가가치세 과세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임상시험용역을 중심으로 / 김향연 2018  219
2239 9 보건의료 임상시험 직접의료비용 분석 연구 : 간세포암 프로토콜 사례 분석 중심으로 / 정혜란 2016  219
223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시대에 교양 교육의 의미 : 하이데거의 「휴머니즘 서간」을 중심으로 / 서동은 2019  219
223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임상 의사들의 경험 연구 / 신영태 2010  220
2236 18 인체실험 황우석 연구에 대한 IRB의 윤리적 감독의 부적절성 / 구영모 2007  220
2235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2234 9 보건의료 미디어의 메르스 보도 프레임 비교 / 권신혜 2016  220
2233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20
2232 20 죽음과 죽어감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 김은정 2016  220
2231 5 과학 기술 사회 다국적기업에 의한 인권침해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 이상수 2014  220
223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2229 14 재생산 기술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 문미혜 외 2008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