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제대학교 : 의학과 인문의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391215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A Proposal for Code of Ethics of Emergency Physicians Emergency Physicians


  • 저자 : 차지훈
  • 형태사항 : iv, 59 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강신익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 의학과 인문의학 2008. 2
  • 발행국 : 경상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윤리, 응급의학, 윤리강령




초록 (Abstract)

목적: 응급의학과 의사는 늘 응급환자와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진료해야 하므로 다른 어떤 과보다도 높은 수준의 직업의식을 가지고 환자의 치료에 임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그러한 직업의식을 대변해 줄 윤리강령이나 지침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절하고 임상에 쓰일 수 있는 응급의료 윤리강령의 개발을 위해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
방법: 문헌고찰 및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강령과 윤리 사례를 분석한 기술적 연구방식을 이용하였다.
결과: 응급의료 및 응급의학의 특징으로 의사의 빠른 판단 능력의 필요성, 의사-환자 관계의 다양성, 팀워크, 병원에 대한 대표성, 응급실 환자 전체에 대한 진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높은 근무 스트레스, 사회적 요구에의 부응 등이 검토되었다. 그리고 응급의료 윤리 규약 제정의 필요성으로 제안된 것으로 빈약한 응급의료 전달체계, 직업전문주의, 조직윤리의 대두, 병원 윤리위원회 기능의 미비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의 초안으로서 10개의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여기에서는 대한의사협회의 윤리 강령의 내용에서 응급의료의 특수성을 가미하였고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 강령의 내용을 적절히 참조하였다. 응급의료의 특수성이 가미된 내용으로는 응급환자에 대한 민첩성, 신중성, 그리고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고려, 응급의료와 관련된 모든 보건의료인과의 협조적 관계의 중요성 강조, 응급의료에서의 리더십, 응급의료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 의학적, 윤리적 오류를 범하는 동료 보건의료인에 대한 적절한 대처 등이다. 앞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 강령 및 지침의 개발을 위한 계속된 연구와 학회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토의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응급의료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보급, 실천하는 것은 한국의 응급의료 수준을 높이고 응급의학과의 위상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결론: 여러 문헌 검토와 외국의 윤리강령의 사례 및 응급의료 윤리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에 대한 초안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위험의 특성과 법적 규제방안 /양종모

발행년 2016 

  • 조회 수 722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발행년 2015 

  • 조회 수 72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발행년 2004 

  • 조회 수 717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발행년 2006 

  • 조회 수 712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71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발행년 2002 

  • 조회 수 710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발행년 2008 

  • 조회 수 710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발행년 2012 

  • 조회 수 710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0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발행년 2019 

  • 조회 수 70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곽영근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2

1 윤리학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 양천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702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701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694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3

18 인체실험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 / 이일학

발행년 2008 

  • 조회 수 69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690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발행년 2011 

  • 조회 수 689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