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669374 


(연구원, 도서관내에서 무료열람가능한 자료입니다.)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수정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Factors to Predict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유성신, 박현선, 민귀홍, 하영희, 김여정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2호, 2015.4, 43-70 (28 pag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장기기증의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계획행동이론의 ‘행동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의 변인에 개인적 특성 변인인 ‘이슈관여도’와 ‘주관적 지식’ 개념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추가하여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대한 예측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장기기증에 대한 서약의도의 52.9%를 8가지의 예측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서약에 대한 태도’, ‘자기효능감’, ‘이슈관여도’가 높을수록,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인 경우 서약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과 ‘주관적 지식’은 예측 모형에 포함되었으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기증 홍보와 커뮤니케이션에서 수용자들의 이슈관여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하며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캠페인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장기기증에 대해 더욱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해야 더욱 많은 서약의도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기증과 관련해 가장 많은 예측모델로 제시된 계획행동이론의 변수를 포함하고 이에 추가로 개인의 특성 변수를 포함하여 장기기증의 서약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높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possible variables to predict one’s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elf-efficacy, issue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and self-efficacy are derived from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ssue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are related to personal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ight variables explain 52.9% of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Women with high scores in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pledge, self-efficacy and issue involvement are likely to show strong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However, age, only child and subjective knowledge are not significant.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design campaigns to promote people’s issue involvement and self-efficacy in terms of organ donation. Also, considering that attitude change leads to behavior change, we suggest cultivating positive and open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which will in turn bring more pledges to donate organ. We believe this study contributes to greater explanations for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by including various variable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studies.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의의
6.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068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
206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206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206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2064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063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2062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
2061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81
2060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2059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81
2058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2057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0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054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05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5  181
2052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205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80
2050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04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