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충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헌법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89810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omen`s Reproductive Rights in the Bio-Society


  • 저자 : 윤계형
  • 형태사항 : vi, 212 p. : 삽도 ; 26 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헌법전공 2009. 2
  • KDC : 360 4
  • 발행국 : 충청북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구성 4

    제2장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예비적 고찰 7

    제1절 서 설 7

    제2절 생명과학기술과 법 8

    I. 생명과학기술의 전개와 이에 대한 우려 8

    1. 생명과학기술사회의 의미와 전개 8

    (1) 생명과학기술사회의 의미 8

    (2) 보조생식의료의 확대와 적용 10

    2. 생명과학과 생명윤리의 갈등 19

    (1) 우생학에 대한 우려 21

    (2)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25

    II. 생명과학기술에 대한 법의 개입 30

    1. 생명과학기술에 대한 법적 규율 필요성 30

    2. 생명과학기술에 대한 국제기구의 움직임 33

    (1) 인간복제금지협약에 관한 결의안 35

    (2) 비엔나 선언 및 행동강령 36

    (3) 인간게놈과 인권에 관한 보편선언 36

    (4) 인권과 생의학에 관한 유럽협약 37

    (5) 세계보건기구 결의안 38

    (6)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 39

    제3절 생명과학기술과 여성 41

    I. 여성주의와 생명윤리 41

    1. 여성주의의 전개 41

    2. 여성주의적 생명윤리 42

    (1) 자유주의적 생명여성주의 43

    (2) 급진주의적 생명여성주의 43

    (3) 문화적 생명여성주의 44

    (4) 의사소통 생명여성주의 45

    II. 생명과학기술이 여성에게 미친 영향 46

    1. 긍정적 측면의 영향 46

    2. 부정적 측면의 영향 46

    (1) 임신과 출산의 의료화 46

    (2) 생명과학연구에서 여성의 배제 46

    (3) 여성의 몸에 대한 개입 및 통제에 따른 건강불평등 47

    제3장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헌법적 체계 53

    제1절 서 설 53

    제2절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논의의 형성과 발전 55

    I. 기존의 여성의 권리에 관한 논의 55

    1. 여성의 권리에 관한 국제기구의 논의 55

    (1)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협약 57

    (2) 국제인권규약 59

    (3) 세계여성회의 60

    2. 여성의 프라이버시권 61

    (1) 프라이버시권에 기초한 임신중절권 62

    (2) 기존의 여성의 권리가 가지는 한계와 새로운 논의의 요구 65

    II.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 65

    1.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국제기구의 움직임 65

    (1) 여성에 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에 관한 협약 66

    (2) 인구개발국제회의 69

    2. 여성의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의 확대 71

    제3절 여성의 생식권의 의의와 헌법적 근거 75

    I. 생식권의 개념 및 의의 75

    1. 생식권의 개념 및 주체 75

    (1) 생식권의 개념 75

    (2) 생식권의 주체 79

    2. 여성의 생식권의 의의 79

    (1) 여성의 생식권의 의의 79

    (2) 권리적 독자성 80

    II. 여성의 생식권의 헌법적 근거 82

    1. 헌법의 기본원리와 기본제도에 근거한 여성의 생식권 83

    (1) 사회국가원리 83

    (2) 혼인제도 84

    2. 헌법의 기본권 규정에 근거한 여성의 생식권 86

    (1)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행복추구권 87

    (2) 평등권 88

    (3)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89

    (4) 모성보호 90

    (5) 건강권 91

    (6)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 95

    제4절 여성의 생식권의 내용과 효력 및 한계 96

    I. 여성의 생식권의 내용 96

    1. 여성의 생식권의 구체적 내용 96

    (1) 생식결정권 96

    (2) 생식건강권 100

    2. 여성의 생식권의 유형 105

    (1) 소극적인 생식권 106

    (2) 적극적 생식권 107

    II. 여성의 생식권의 효력 및 한계 108

    1. 여성의 생식권의 효력 108

    (1) 대국가적 효력 109

    (2) 대사인적 효력 109

    2. 여성의 생식권의 한계 110

    제4장 개별적 영역에서 여성의 생식권과 입법과제 111

    제1절 서 설 111

    제2절 임신중절과 여성의 생식권 112

    I. 문제제기 112

    (1) 산전 유전자 진단과 임신중절 113

    (2) 임신중절의 실태 114

    II. 법적 쟁점의 검토 117

    (1) 임신중절의 규정방식 117

    (2) 임신중절의 허용에 관한 법적 쟁점 119

    III. 소결 120

    제3절 난자의 기증과 여성의 생식권 123

    I. 문제제기 123

    II. 난자의 기증과 여성의 건강 123

    III. 난자의 기증과 배아의 생성 문제 126

    1. 배아의 생성 목적 126

    2. 배아 생성에 있어서의 특정 행위 금지 128

    (1) 생식세포 매매의 금지 129

    (2) 배아 보존기간에 대한 제한 및 배아 폐기의 조건 129

    IV. 생식세포 기증자에 대한 보상 문제 130

    V. 관련 입법의 검토 130

    1. 외국의 입법상황 130

    (1) 미국 130

    (2) 영국 131

    2. 현행 관련 법제와 문제점 132

    VI. 소결 132

    제4절 출산전 유전자진단과 여성의 생식권 134

    I. 문제제기 134

    II. 착상전 유전자 진단의 개념과 위험성 134

    1. 착상전 유전자 진단의 개념 134

    2. 착상전 유전자 진단의 위험성 136

    III. 법적 쟁점의 검토 139

    1. 착상전 유전자진단을 허용하자는 견해 139

    2. 착상전 유전자진단을 금지하자는 견해 140

    3. 관련 규정의 검토 140

    IV. 소결 142

    제5절 대리출산과 여성의 생식권 143

    I. 문제제기 143

    II. 대리출산의 개념과 유형 143

    1. 대리출산의 개념 143

    2. 대리출산의 유형 143

    III. 대리출산에 관한 외국의 입법동향 145

    1. 영국 145

    2. 미국 146

    3. 독일 147

    4. 프랑스 148

    IV. 소결 149

    제6절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입법의 검토 및 과제 151

    I.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입법의 검토 151

    1.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입법 체계 151

    2. 여성의 생식권 관련 입법에 대한 평가 151

    (1) 모자보건법 152

    (2)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154

    (3) 의료법과 보건의료기본법 158

    (4) 여성발전기본법 160

    (5) 기타 자율적 지침 161

    II. 여성의 생식권 보장을 위한 입법과제 166

    1. 헌법적 과제 166

    (1) 헌법의 개정에 관한 논의 166

    (2) 여성의 생식권 보장을 위한 헌법의 기능과 역할 169

    2. 법률적 과제의 전제조건 171

    (1) 성인지적 입법 171

    (2)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 172

    (3) 교육의 확대 174

    3. 생명과학기술의 적용에 대한 구체적 기준 177

    (1) 보조생식의료 이용에 대한 기준 마련 178

    (2) 동의권의 구체화 179

    (3) 개인의 건강정보보호 184

    4. 여성의 생식건강에 관한 제도 186

    (1) 여성의 생식건강에 관한 실태 파악의 필요성 186

    (2) 여성의 생식에 관한 전담기구의 설치 187

    제5장 결 론 189

    참 고 문 헌 193

    ABSTRACT 2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88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1487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
    1486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2017  134
    1485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4
    1484 9 보건의료 위험분담제도의 국내보험제도 안착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한 고찰 / 이상은 2016  134
    148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05  134
    1482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148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의한 임신의 주산기 예후 / 이준호 2015  134
    1480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4
    1479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1478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에 대한 제한원칙으로서의 위해원칙의 한계/김정아 2015  134
    1477 1 윤리학 자유주의 시민성과 도덕과 인성교육의 과제 / 조주현 2019  133
    1476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보건의료기관 간호사의 교육환경 및 간호실무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선정 / 양인숙 외 2018  133
    1475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3
    1474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고찰 / 박태신 2018  133
    1473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1472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법상 대리모계약으로 출생한 자의 부모결정기준과 자녀의 복리 / 서종희 2017  133
    1471 4 보건의료 철학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은희 외 2018  133
    1470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의 과제와 전망 / 닐런트 2017  133
    1469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