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임상간호연구 Vol.19 No.3 [201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84957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Recipients of the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 벨기에 법에서는 다양한 개별입법을 통하여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생명윤리 분야에 관한–구...
  •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소재한 2,000병상 이상인 종합 병원에서 생체 간이식을 받고 통원 치료 중인 간이식 수혜자 총 2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레스와 삶의 질 그리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 수준은 5점 척도 중 2.44±0.13점으로 중간 정도를 보였다.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한 Kim (2003)의 연구는 3.70점, Ham (2012)의 연구는 2.60점으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보다 낮은 점수였다.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인 Ham (2012)의 연구는 대상자의 78.0%가 생체 간이식 수혜자로 간이식 후 3개월까지는 수술 후 급성 거부반응이나 합병증 치료에 주력하는 시기로 보아 3개월이 지난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반면 본 연구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보인 Kim (2003)의 연구는 대상자의 60.0%가 생체 간이식 수혜자로 이식 후 3개월 이내의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자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생체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식 후 3개월 미만인 경우 수술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아 간이식 후 3개월 이상인 수혜자를 연구대상자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문항에 따른 스트레스는 ‘간기증자에게 미안하다’, ‘간기증자에게 수술 후 합병증이 나타날까봐 걱정 된다’, ‘간기증자가 간기증을 이유로 사회적인 피해를 입을까봐 걱정된다’ 등 기증자와 관계있는 항목이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2003)의 연구에서 ‘기증자에 대한 미안함‘이 다소 높은 스트레스 정도를 보인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기증자와 수혜자가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92%이며, 특히 기증자와의 관계는 자녀가 57.3%를 차지하므로 다른 혈연관계보다 자식과 긴밀한 관계임을 볼 때 생체 간이식에서 기증자는 신경을 써야 할 대상자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생체 간이식인 경우 기증자는 이식 후에도 이식 전과 동일하게 건강한 삶을 유지해야 하므로 수혜자에게 있어 기증자에 대한 부담감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8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9
    37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2010  84
    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및 인체조직 구득에 관한 공적 체계의 확립 / 김현철 2014  117
    35 19 장기 조직 이식 미국 정부, 장기이식 연구에 2억 달러 투자 / 안형준 2016  131
    34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문상혁 2015  195
    31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30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2
    29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2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3
    27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
    26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의 인체기증 활성화방안 : 장기, 각막, 인체조직을 중심으로 / 정봉실 2009  289
    25 19 장기 조직 이식 법률상의 장기분배기준 등의 정의론적 분석 :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출범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소윤 2002  294
    24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2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2
    2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2008  328
    21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0
    2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1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1998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