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00979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Using the Story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 제어번호 : 100500979
  • 저자명 : 김대군 ( Dae Gun Kim )
  •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 : Vol.36 No.- [2015]
  • 발행처 :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7-100(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인간본질 ,예방윤리 ,환경윤리교육 ,스토리텔링 ,인간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human nature ,preventive ethics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story ,story telling ,anthropocentrism ,ecocentrism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환경문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공간적 연관성으로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가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보니 원인파악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인...
  • 환경문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공간적 연관성으로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가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보니 원인파악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도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는 인간의 본질과 연관된 환경문제의 특징을 찾아 윤리적 관점의 의미를 제시하고, 환경윤리교육 방안으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의 가치 찾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윤리교육이 대중 매체들과 차별화되는 비판적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찾아야만 그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인간존재의 본질, 예방윤리로서 환경윤리의 필요성, 이야기를 활용한 환경윤리교육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윤리교육에서 추상성을 극복하기 위한 적절한 자료중의 하나는 이야기이다.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은 자연공동체형성, 타자에 대한 교감형성, 실천력 향상 등 윤리교육의 근본 목적에 부합되는 장점이 있다. 환경윤리교육은 인간과 환경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해서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하겠다. 환경문제영역에 따른 이야기의 활용은 맥락에서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주체적으로 비판적 사고력을 사용하여 판단하고 교감 능력과 실천력까지 기를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 이야기의 활용은 인간중심 환경윤리와 생태중심 환경윤리를 기본 축으로 해서 교수자가 인지해야할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았다. 환경문제의 예방은 원인을 찾고, 대책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을 하는 데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환경문제에 초점을 둔 네거티브 접근을 하고, 생태중심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생명현상에 초점을 둔 포지티브 접근을 하여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야기를 통한 환경윤리교육은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고, 생명현상에 대해서는 신비로움을 깨닫고 감수성을 갖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28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2018  159
    182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 / 전윤화 외 2017  159
    182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1825 9 보건의료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한 적응적 설계 임상시험 가이던스 개발 연구 / 최종열 외 2014  159
    1824 22 동물복지 동물 복지관점에서의 실험동물 / 김병수 2012  159
    1823 5 과학 기술 사회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과 책임의 문제 / 구인희 2003  159
    1822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9
    1821 1 윤리학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 김효은 외 2018  159
    182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 외 2009  158
    1819 18 인체실험 인공 조직 제조를 위한 줄기세포 및 생체재료 기반 바이오프린팅 기술 / 장진아 2018  158
    1818 9 보건의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치매 대응전략에 대한 연구 / 이경민 외 2018  158
    181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 상상력과 공감에 기반 한 감수성 - / 양선이 2017  158
    1816 20 죽음과 죽어감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오진탁 2006  158
    1815 5 과학 기술 사회 AI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인간만의 고유한 역할 교육 필요하다” / 강나리 2016  158
    1814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8
    181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과 국민의 권익구제- 자율주행차, 드론 및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 김광수 2019  157
    1812 9 보건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 권영은, 김재수 2018  157
    1811 4 보건의료 철학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 교수의 스트레스 및 사전동의서의 필요성 / 정승교 외 2017  157
    181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7
    1809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관련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진주희 2017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