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732223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Political Meaning of Health Impact Assessment as Health determining Factors


http://www.riss.kr/link?id=A100548459 

 

  • 제어번호 : 100548459
  • 저자명 : 배현아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9 No.1 [2015]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61-184(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Health Impact Assessment(HIA) ,보건의료정책 ,건강결정요인 ,「 환경보건법」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Environmental Health Act ,health determining factor ,health policy ,환경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초록 (Abstract)

건강영향평가란 개발정책 또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건강위해요인과 건강증진요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사업으로, 개발활동의 과정으로 인해 변화되는 위해 요인과 기회요인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평가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기반 건강영향평가의 결과로 건강보호와 증진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추천 또는 제안을 하는 것이 건강영향평가의 목표이다. 우리나라 건강영향평가 제도의 법적 근거는「환경보건법」이며, 대상사업들은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측면(건강에 대한 물리적 영향, 사회적 영향, 취약계층에 대한 영향 등)과 관련이 있는 사업들이다.
우리나라 환경부의「환경보건법」에 근거한 건강영향평가는 그 대상 사업이 제한적이고 물리·환경적 요인에 국한된 평가방법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건강영향평가는 절차상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에 추가하여 협의를 요청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강영향평가의 대상은 환경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검토하는 것이고 당해 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며 이 확인 과정은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절차적 제한점이 존재한다.
건강영향평가는 구체적인 보건정책을 계획하고 수행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선별적인 조사이지만 최종적으로는 보건정책수립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주기위한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포괄적인 건강의 개념과 다양한 건강결정요인을 고려하여 다학제 간 구조화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그 과정에서 우선순위의 결정 등을 통한 건강영향평가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수행이 필요하고 그 결과가 보건의료정책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 II. 건강결정요인과 건강영향평가

    1. 건강결정요인

    2. 건강영향평가

    3. 건강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관계

    III. 결론: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32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31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4
    30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6
    29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1
    28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7
    27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40
    2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2
    25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24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8
    2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조상은 2014  229
    22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21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7
    20 9 보건의료 유령수술행위의 형사책임 - 미용성형수술을 중심으로 -/황만성 2015  249
    19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51
    18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2
    17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5
    16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3
    15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5
    14 9 보건의료 N. Daniels의 생애에 대한 타산적 접근법과 그에 대한 비판: S. Brauer를 중심으로/이경도 2015  315
    13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