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732223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Political Meaning of Health Impact Assessment as Health determining Factors


http://www.riss.kr/link?id=A100548459 

 

  • 제어번호 : 100548459
  • 저자명 : 배현아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9 No.1 [2015]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61-184(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Health Impact Assessment(HIA) ,보건의료정책 ,건강결정요인 ,「 환경보건법」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Environmental Health Act ,health determining factor ,health policy ,환경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초록 (Abstract)

건강영향평가란 개발정책 또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건강위해요인과 건강증진요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사업으로, 개발활동의 과정으로 인해 변화되는 위해 요인과 기회요인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평가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기반 건강영향평가의 결과로 건강보호와 증진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추천 또는 제안을 하는 것이 건강영향평가의 목표이다. 우리나라 건강영향평가 제도의 법적 근거는「환경보건법」이며, 대상사업들은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측면(건강에 대한 물리적 영향, 사회적 영향, 취약계층에 대한 영향 등)과 관련이 있는 사업들이다.
우리나라 환경부의「환경보건법」에 근거한 건강영향평가는 그 대상 사업이 제한적이고 물리·환경적 요인에 국한된 평가방법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건강영향평가는 절차상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에 추가하여 협의를 요청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강영향평가의 대상은 환경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검토하는 것이고 당해 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며 이 확인 과정은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절차적 제한점이 존재한다.
건강영향평가는 구체적인 보건정책을 계획하고 수행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선별적인 조사이지만 최종적으로는 보건정책수립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주기위한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포괄적인 건강의 개념과 다양한 건강결정요인을 고려하여 다학제 간 구조화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그 과정에서 우선순위의 결정 등을 통한 건강영향평가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수행이 필요하고 그 결과가 보건의료정책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 II. 건강결정요인과 건강영향평가

    1. 건강결정요인

    2. 건강영향평가

    3. 건강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관계

    III. 결론: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7
    35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658
    34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7
    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8
    3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81
    30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7
    2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28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900
    2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52
    2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42
    25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40
    24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7
    2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22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9
    2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2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1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1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17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