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732218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Informed Consent and the Waiver of Consent with Autonomy


http://www.riss.kr/link?id=A100548454 

  • 제어번호 : 100548454
  • 저자명 : 백수진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9 No.1 [2015]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3-48(1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Informed Consent ,윤리적 정당성 ,인간 존중 ,자율성 존중 ,waiver of consent ,respect for autonomy ,respect for person ,ethical justification ,동의면제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



초록 (Abstract)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연구 수행 전 연구계획서의 과학적, 윤리적 타당성을 심의하는 소위‘IRB(Institutional Review Board)’로 대표되는 기구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윤리적 타당성은 흔히‘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Informed Consent)’로 귀결되는 경향이 많다. 연구계획서의 심의에서 연구대상자로부터 어떤 설명과 절차를 통해 동의를 받느냐는 것이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중요한 요소임은 분명하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연구(이하‘인간대상연구’라 한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명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모든 윤리적 정당성이 마치‘연구대상자로부터의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만 받으면 확보될 것처럼 유도되는 결론은 위험해 보인다.
필자는 인간대상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동의와 관련한 윤리적 원칙으로‘자율성 존중’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어 논의를 어렵게 한다고 생각한다.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지나치게 이상적인 자율성 존중이라는 도덕 원칙에 두기 때문에 오히려 동의면제의 윤리적 정당성을 설명하기 어렵게 된다고 믿는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 입각하여 동의를 볼 때 갖는 도덕적 함의와 그로 인해 동의면제에서 드러나는 도덕적 모순과 허구를 지적함으로써 동의 및 동의면제에 대한 현실적 직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자율성으로 본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

    Ⅲ. 자율성에 근거한 동의, 면제될 수 있는가

    Ⅳ. 연구에서의 동의와 동의면제, 어떻게 윤리적으로 정당화 될 수 있나

    Ⅴ. 맺음말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564

    14 재생산 기술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김광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56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 정승명

    발행년 2004 

    • 조회 수 565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발행년 2019 

    • 조회 수 565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56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발행년 2010 

    • 조회 수 56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의 현황과 과제 / 이이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56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 최경석

    발행년 2009 

    • 조회 수 569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실험시행기관의 실험동물 사용 현황/Moon Seok Yoon, Gwang Hee Lee, Hwang Lee, Tae Jun Lee

    발행년 2015 

    • 조회 수 569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발행년 2017 

    • 조회 수 569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김선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57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승낙을 중심으로 / 이홍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571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발행년 2014 

    • 조회 수 57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법인격에 관한 연구 : 권리주체를 중심으로 / 송지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572

    15 유전학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 유전자 결정론과 생명계급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김광연

    발행년 2014 

    • 조회 수 57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7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74

    1 윤리학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 - 아감벤과 레비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 이종원

    발행년 2016 

    • 조회 수 5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발행년 2012 

    • 조회 수 574

    17 신경과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