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Vol.16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49696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0549696

 

  • 제어번호 : 100549696
  • 저자명 : 김지연
  • 학술지명 : 의료법학
  • 권호사항 : Vol.16 No.1 [2015]
  • 발행처 :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83-124(4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인공생식 , 인공수정 , 인공수정자 , 시험관아기 , 대리모 , A.R.T.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 A.I.D.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 Artificial insemination child , Test tube baby , Surrogate mother
  • 판매처 학술교육원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본자료는 미구독 자료임. 복사신청을 원할 경우  문의 lib@nibp.kr 



초록 (Abstract)
난임과 인공수정은 증가하고 있음에 비해 이에 대한 법적 규율은 미비한 상태이며, 인공수정으로 출생한 자녀의 법적 지위는 불안하다. 현재는 해석에 의해 해결하고 있지만 향후 입법이 필요한 분야로, 우리 문화와 현재 사회의 인식 정도, 의료 수준의 발달 정도, 국외 여러 나라의 선행 입법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특히 입법론에서 고려하여야 할 것은 법을 위반하여 자녀가 출생한 경우, 그의 복리이다. 법이 미래의 모든 사항을 규율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인공수정자의 복리는 이에 관한 상세한 입법이 없는 현재에서도 중점적 고려사항이다. 자신의 자유 의지와 적극적 행위로 인공수정을 선택한 성인과 달리 인공수정자는 출생에의 선택권이 없기 때문이다. 이하 본고에서는 인공생식 기술의 유형과 현황을 설명하고, 해석과 판례에서 나타나는 인공수정자의 법적인 지위와 기타 문제 등을 살펴보겠다. 그리고 해외 입법례를 통해 향후 입법안의 방향을 제시하겠다. 인공수정의 기술적 부분에 관한 입법안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포함시키고, 인공수정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법적 지위 부분은 민법전에 편입하는 방식을 취하겠다. 인류의 미래에 도움을 주는 생명과학의 발전은 장려되어야 하지만 인간의 창조나 개량을 향한 연구는 지양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가 현실과 과학을 접목하여 법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3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76
36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1995  856
35 14 재생산 기술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백승흠 2007  807
34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11
3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감수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2014  682
32 1 윤리학 줄기세포주 등록과 관련된 생명윤리법 규정의 해석 / 민혜영 2014  679
3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
30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599
29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28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2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26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25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24 14 재생산 기술 비혼인동거자 사이의 인공수정과 그 법률관계 / 김민규 2012  470
»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22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7
21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20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1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1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