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5.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90211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 The Options of Families About Making Advance Directives





저자 : 양인권
형태사항 : ; 26 cm
일반주기 :
지도교수: 송태수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5. 8
발행국 : 경기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5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www.riss.kr/link?id=T13890211



초록


  • 국문요약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양 인 권
    지 도 교 수 송 태 수


    이 연구의 목적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임종기 환자들에 대한 의료적 입장들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사전의료의향서의 타당성과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올바른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생명에 대한 윤리적 가치의 정립을 통해 생명존중 문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돕고자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2015년 04월 13일부터 04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400부 모두를 회수하였고 통계적 가치가 없는 설문지 7부를 제외한 393부(분석률 98.2%)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 종교, 월 평균소득, 경제상태, 가족 동거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성별은 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40대 이하(53.7%), 50대(34.4%), 60대(8.1%), 70대(3.3%), 80대 이상(0.5%)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38.7%), 전문대졸(26.0%), 고졸(23.7%), 대학원이상(7.1%), 중졸이하(4.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전체 74.6%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종교 없음(40.2%), 기독교(27.7%), 불교(16.0%), 천주교(13.2%), 기타종교(2.8%)의 순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소득은 100만원이상~200만원 미만(31.3%), 300만원 이상(29.0%), 200만원이상~300만원 미만(25.2%), 100만원 미만(9.2%), 기타(5.3%)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는 보통(75.1%)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과다대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동거유형을 묻는 문항에서는 부부+자녀(49.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전의료의향서가 무엇인지 아는지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61.8% 나타나 과반수이상이 사전의료의향서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 제도에 대해 설명을 한 후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는 찬성한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70.8%로 나타나 비교적 이 제도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시기는 건강할 때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50.1%로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의 의사결정은 81.7%가 본인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실 생각이 있는지에 관해서는 59.8%가 찬성을 했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특정한 문서 양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는 72.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의료적 권한 법정대리인의 지정에 대해서는 76.3%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가 편안해 질 수 있도록 유지되는 모든 치료를 중단하거나 보류할 것을 제한하여 나의 주치의는 내가 가능한 편안하게 사망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길 부탁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89.8%가 “예”라고 대답했다.
    나는 말기 상황일 경우 나를 살릴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동원하여 치료를 계속해 주길 부탁한다는 문항에서는 “아니오”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71.2%를 차지했다.



  • 목차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제2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3

  • 1. 연구범위 3

  • 2. 연구방법 3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죽음에 대한 정의와 의미 5

  • 1. 죽음의 의학적 의미 5

  • 2. 죽음의 철학적 의미 7

  • 3. 죽음의 종교적 의미 10

  • 4. 임종기 환자의 의료적 상황들 16


  • 제2절 사전의료의향서 26

  • 1.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26

  • 2. 사전의료의향서의 대두배경과 내용 29

  • 3.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 35

  • 4. 외국 및 우리나라의 사례 38


  • 제3절 선행연구 43


  • 제3장 연구설계 46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46

  • 1. 연구모형 46

  • 2. 연구가설 47


  • 제2절 측정도구 47

  • 1.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47

  • 2. 설문지의 구성 48

  • 3. 자료분석방법 51


  • 제4장 분석결과 52

  • 제1절 기초 분석 52

  •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2

  • 2. 사전의료의향서 실태 55


  • 제2절 가설검증 59

  •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 간의 만족감의 차이분석 59

  •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분석 62

  •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의 차이분석 65


  • 제5장 결론 68

  • 제1절 연구의 요약 68

  • 제2절 연구의 제언 및 한계 70


  • 참고문헌 72

  • 설문지 80

  • Abstract 86

  • 부록 8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8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51
    13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50
    136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50
    135 9 보건의료 유령수술행위의 형사책임 - 미용성형수술을 중심으로 -/황만성 2015  248
    134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
    133 8 환자 의사 관계 사과법(Apology Law)의 입법동향 및 관련 쟁점 /이로리 2018  245
    13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2017  244
    1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40
    130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129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2015  240
    12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의료보험법을 중심으로 / 한수연, 이홍직 2013  238
    127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126 2 생명윤리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박소연, 박경영 2015  235
    125 1 윤리학 첨단치료 의료제품(ATMP)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법 고찰 / 박수헌 2014  234
    124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4
    12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3
    122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30
    121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30
    120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조상은 2014  229
    119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각유형 / 조준아 외 2015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