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5.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90211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 The Options of Families About Making Advance Directives





저자 : 양인권
형태사항 : ; 26 cm
일반주기 :
지도교수: 송태수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5. 8
발행국 : 경기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5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www.riss.kr/link?id=T13890211



초록


  • 국문요약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양 인 권
    지 도 교 수 송 태 수


    이 연구의 목적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임종기 환자들에 대한 의료적 입장들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사전의료의향서의 타당성과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올바른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생명에 대한 윤리적 가치의 정립을 통해 생명존중 문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돕고자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2015년 04월 13일부터 04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400부 모두를 회수하였고 통계적 가치가 없는 설문지 7부를 제외한 393부(분석률 98.2%)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 여부, 종교, 월 평균소득, 경제상태, 가족 동거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성별은 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40대 이하(53.7%), 50대(34.4%), 60대(8.1%), 70대(3.3%), 80대 이상(0.5%)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38.7%), 전문대졸(26.0%), 고졸(23.7%), 대학원이상(7.1%), 중졸이하(4.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전체 74.6%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종교 없음(40.2%), 기독교(27.7%), 불교(16.0%), 천주교(13.2%), 기타종교(2.8%)의 순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소득은 100만원이상~200만원 미만(31.3%), 300만원 이상(29.0%), 200만원이상~300만원 미만(25.2%), 100만원 미만(9.2%), 기타(5.3%)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는 보통(75.1%)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과다대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동거유형을 묻는 문항에서는 부부+자녀(49.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전의료의향서가 무엇인지 아는지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61.8% 나타나 과반수이상이 사전의료의향서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 제도에 대해 설명을 한 후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는 찬성한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70.8%로 나타나 비교적 이 제도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시기는 건강할 때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50.1%로 나타났으며, 사전의료의향서의 의사결정은 81.7%가 본인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실 생각이 있는지에 관해서는 59.8%가 찬성을 했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특정한 문서 양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는 72.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의료적 권한 법정대리인의 지정에 대해서는 76.3%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가 편안해 질 수 있도록 유지되는 모든 치료를 중단하거나 보류할 것을 제한하여 나의 주치의는 내가 가능한 편안하게 사망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길 부탁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89.8%가 “예”라고 대답했다.
    나는 말기 상황일 경우 나를 살릴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동원하여 치료를 계속해 주길 부탁한다는 문항에서는 “아니오”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71.2%를 차지했다.



  • 목차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제2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3

  • 1. 연구범위 3

  • 2. 연구방법 3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죽음에 대한 정의와 의미 5

  • 1. 죽음의 의학적 의미 5

  • 2. 죽음의 철학적 의미 7

  • 3. 죽음의 종교적 의미 10

  • 4. 임종기 환자의 의료적 상황들 16


  • 제2절 사전의료의향서 26

  • 1.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26

  • 2. 사전의료의향서의 대두배경과 내용 29

  • 3. 사전의료의향서의 필요성 35

  • 4. 외국 및 우리나라의 사례 38


  • 제3절 선행연구 43


  • 제3장 연구설계 46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46

  • 1. 연구모형 46

  • 2. 연구가설 47


  • 제2절 측정도구 47

  • 1.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47

  • 2. 설문지의 구성 48

  • 3. 자료분석방법 51


  • 제4장 분석결과 52

  • 제1절 기초 분석 52

  •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2

  • 2. 사전의료의향서 실태 55


  • 제2절 가설검증 59

  •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 간의 만족감의 차이분석 59

  •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분석 62

  •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의 차이분석 65


  • 제5장 결론 68

  • 제1절 연구의 요약 68

  • 제2절 연구의 제언 및 한계 70


  • 참고문헌 72

  • 설문지 80

  • Abstract 86

  • 부록 8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8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13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135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13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133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132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131 16 환경 중국 지역 간 건강 수준 차이 원인에 관한 연구 :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와 흑룡강성(黑龍江省) 사례 비교 / 허신, 강민아 2015  328
    130 16 환경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배현아 2015  326
    129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1
    128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7
    127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126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1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승낙을 중심으로 / 이홍석 2008  572
    124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1
    123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6
    122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2
    12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12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9
    119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