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Vol.31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40504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The Rights to Die and Decisions on Death of Old Women : Focused o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제어번호 : 100440504
  • 저자명 : 이동옥(Lee, Dong-Ok)
  •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 권호사항 : Vol.31 No.1 [2015]
  • 발행처 : 한국여성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aws.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3-159(3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KDC : 337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노인여성 ,죽음 결정 ,죽을 권리 ,연명의료 ,가족 ,old women ,decision on death ,right to die ,life-sustaining treatment ,family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인간의 기본권인 생명권의 개념으로 죽을 권리를 논의하면서 노인여성의 위치에서 죽음 결정을 고찰했다. 특히, 가족과 의사와의 관계에서 성별화된 맥락을 살펴보면서 노인여성이 어떠한 죽음을 원하는지 논의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연구참여자들은 부정적 이미지 속에서 죽음의 과정을 단축하고 싶어했다. 특히, 저소득층의 연구참여자들은 경제적 이유로 호흡기 착용을 원하지 않았다. 또한 건강한 연구참여자들은 의존상태를 부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영양공급까지도 거부했다. 이러한 상황은, 노인여성이 진정으로 죽음을 원하는지 회의하게 했고 죽을 권리의 존중이 인권유린으로 해석될 수 있는 맥락을 드러냈다. 연구참여자들은 남편의 호흡기 제거에 주저했지만, 주체적으로 자신의 죽음을 결정하고 싶어했다. 또한 대리인으로서 자녀를 신뢰하면서도 학대 가능성에 대해 불안해했고 자녀와의 경제적 이해관계에 취약한 양상을 보여 주었다. 한편, 의료제도 하에서 노인여성들은 의사와 위계적 관계를 구성한다. 이들은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병원에서 의사의 판단에 따라 죽음이 결정되는 현실에 무력감을 느꼈다. 연구참여자들이 호흡기 착용에 반대하지만 항상 죽음을 원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들은 죽음의 과정에서 고통을 수용하고 가족과의 이별을 준비하면서 자신의 삶을 존엄하게 마무리하고 싶어했다. 연명의료 결정에서 노인여성의 의사를 존중하고 죽음의 과정을 중시하는 한편, 인권유린을 최소화하는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노인여성들이 전생애 동안 노동시장과 가족 내에서 차별받지 않을 때 죽음 결정에서 주체적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면서
  • Ⅱ. 연구방법

    Ⅲ. 이론적 고찰

    Ⅳ. 죽음의 과정에 관한 폄하와 죽을 권리

    Ⅴ. 연명의료 결정에서 가족과의 관계

    Ⅵ. 의료제도, 의사와의 관계에서 결정의 한계

    Ⅶ.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25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5
    24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23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2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21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5
    20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18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4
    17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16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9
    15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14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3
    13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12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0
    1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10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4
    9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치료 중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미옥 외 2016  57
    7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