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44162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저자 : 손민
  • 형태사항 : iv, 137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정상조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5. 2
  • DDC : 34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생명공학, 특허보호 대상, 특허보호 대상적격, 자연법칙


초록 (Abstract)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은 전 세계적으로 나라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 동물, 식물, 줄기세포, 진단방법과 치료방법과 같은 대표적인 발명 주제에 대해 어떤 나라는 특허를 허여하는가 하면, 다른 나라는 이를 특허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다.
다른 기술 분야와 달리 생명공학 분야에서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제도가 이처럼 다양한 이유는 이 분야 발명이 인간의 생명 내지 존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보호 대상을 결정할 때 나라마다 독특한 문화, 도덕, 윤리적인 관점이 많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미국은 특허보호 대상적격을 판담함에 있어서 공서양속 내지 윤리성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 반면에 유럽에서는 공서양속이 매우 중요한 결정 기준의 하나가 되고 있다.
대부분의 나라는 자연법칙을 특허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생명공학 분야의 발명은 속성 상 자연법칙 자체인지 인간의 창작물인지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발명 대상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발명을 자연법칙에 해당한다고 보는가에 있어서도 나라마다 관점의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미국은 유전자를 자연법칙 내지 자연의 산물이라고 보지만 유럽과 우리나라는 특허 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명공학 발명의 특허보호 대상이 많이 확대되었고, 생명공학 특허가 사회에 부담하여야 할 책임도 더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제기되는 여러가지 특허법적 이슈를 특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현재의 다양한 제도를 만든 다양한 시각을 이해한다면 더 나은 특허제도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 1
  • 제 1 절 특허보호 대상의 의미 ··········································· 1

    제 2 절 각국의 법체계 ······················································ 3

    제 3 절 생명공학 분야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문제들 ·······14

    제 2 장 유전자 특허 ························································ 19

    제 1 절 유전자 특허의 의미 ············································· 19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22

    제 3 절 Myriad Case ······················································ 24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44

    제 5 절 결 론 ·································································· 48

    제 3 장 동물 특허 ···························································· 51

    제 1 절 동물특허의 의미 ·················································· 51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52

    제 3 절 Dolly Case 외 ····················································· 55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75

    제 5 절 결 론 ·································································· 79

    제 4 장 진단방법 및 치료방법 특허 ··································· 82

    제 1 절 의료방법 특허의 의미 ··········································· 82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83

    제 3 절 Mayo Case ························································· 85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93

    제 5 절 결 론 ································································· 105

    제 5 장 줄기세포 특허 ···················································· 107

    제 1 절 줄기세포 특허의 의미 ········································· 107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108

    제 3 절 WARF Case ······················································ 110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124

    제 5 절 결 론 ································································· 125

    제 6 장 결 론 ································································· 127

    참고문헌 ······································································· 130

    Abstract ······································································· 13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728 15 유전학 경북 동부지역 꿀벌에서 주요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검출 / 우인옥 외 2013  151
    1727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2015  151
    1726 2 생명윤리 출산전진단에 나타나는 우생사상과 공리주의에 대한 인격주의생명윤리적 고찰 /최정임 2014  151
    1725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시설의 최근 규제동향/김광진 2014  151
    172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황과 발전방향 : 국내 간이식을 중심으로 / 이승규 1996  151
    »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172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임종기치료 선호도 영향요인 – 죽음준비도, 죽음불안을 중심으로 / 김애리 2019  150
    172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50
    1720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50
    1719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50
    1718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50
    1717 9 보건의료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콘텐츠 개발과 U-헬스케어 모델 연구 2017  150
    1716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50
    1715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1714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50
    1713 7 의료사회학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의 요건과 절차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금지를 중심으로 / 하명호 2016  150
    1712 9 보건의료 생체신호 기반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동향 / 최규호 2017  150
    1711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50
    171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170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