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저자 : 허반석
- 형태사항 : 103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충구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감리교신학대학교 : 기독교윤리학전공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안락사,
죽음,
좋은죽음,
조력자살,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중단,
Euthanasia,
Physician
Assisted Sucide, Hospice,
Living
Will, Death
with Dignity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관점으로 좋은 죽음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좋은 죽음을 갈망하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좋은 죽음 - ‘어느 누구에게도 폐를 끼치지 않는 죽음’, ‘편안한 죽음’,
‘준비된 죽음’, 등 –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적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의 죽음에 관한 논의가 있기는 하였지만,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이루어진 각 연구들 간의 학문적 교류에까지는 다다르지 못하였다. 더욱이 의료기술의 점진적 발달에 따라 죽음의 시점을 결정하는 일에
있어서도 법률적, 제도적 지침이 미흡한 상태이다. 더욱이 한국에서의 의사들은 소극적 안락사조차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해석하여 의학적
판단이나 환자 및 가족들의 요청과는 관계없이 환자가 죽을 때까지 무의미한 의료행위를 계속 실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이들에게 양질의 의료를 정의롭고 공평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와 정부차원의 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좋은 죽음에 대한
논의는 일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뿐, 학문적 연구 차원으로의 발전은 이루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진중한 성찰의
필요로부터 시작하여 생명과 죽음에 대해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관점으로 다시금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더욱이 산재해 있고, 파편화되어 있는 다양한
안락사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고, 그 인접개념이자 앞으로 적극적 논의가 더욱 필요한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현주소와 논쟁점에
대해서도 이미 사회적 합의에 다다른 국가들과 논의 중에 있는 나라들의 사례를 동반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좋은 죽음을 맞고자 하는 사회적 대안으로
호스피스 제도와 사전의료지시서(Living Will)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따라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병원에서 환자의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의료기술의 발달에 비례하여 환자의 생명도 더욱 연장되어지고 있으며, 죽음의 시점을 결정하는 문제 또한
더욱 세세하게 나누어졌다. 이와 같이 더욱 복잡해져가는 현실 속에서 좋은 죽음에 관한 논의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며, 앞서 사회적 합의를
이룬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본다면 대한민국에서의 논의는 더욱 다급하다. 결론적으로 어떻게 사는 것이 가치 있는 삶이고, 어떻게 삶의 마지막 장을
마무리하는 것이 인간적이고 인도적인지가 좋은 죽음 논의의 핵심이다. 더불어 본 논문은 병원에서 환자의 모습으로 삶을 마무리하는 오늘날 죽음의
모습 속에서 그 논의의 초점은 어디에 맞추어져야 할 것인지를 인식하게 하는 의미 있는 연구이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Ⅱ. 죽음에 대한 이해
1. 죽음의 의미
1) 생명의 정의
(1) 생명의 기원
(2) 생명의 의미
2) 죽음의 정의
(1) 죽음의 개념
(2) 죽음의 종류
(3) 죽음에 대한 관점들
(4) 죽음에 대한 종교적 관점들
Ⅲ. 안락사에 대한 이해
1. 안락사의 의미
1) 역사적 이해
(1) 고대
(2) 중세
(3) 근세
(4) 현대
2) 종교적 이해
(1) 성서적 이해
(2) 각 종파별 이해
3) 안락사 분류 기준과 유형
(1) 안락사의 분류 기준
(2) 안락사의 유형과 개념
(3) 안락사의 현대적 분류
2. 안락사와 자살의 구분과 연관성
1) 자살, 조력자살, 의사조력자살 그리고 안락사
Ⅳ. 의사조력자살(Physician Assisted Suicide)
1. 의사조력자살의 의미
2. 의사조력자살과 인접개념과의 구별
1) 의사조력죽음(Physician-Assisted death)
2) 연명치료중단
(1) 연명치료중단과 의사조력 자살의 구별론
3) 안락사
4) 존엄사
5) 현대적 의미의 재정의
3.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외국의 현실
1) 미국
2) 캐나다
3) 영국
4) 독일
5) 네덜란드
4.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대한민국에서의 논의
1) 사회적 분위기
2) 의사윤리지침의 공포
3)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론과 불허론
(1)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론 대두
(2) 적극적 안락사의 불허론
(3)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론
(4) 적극적 안락사의 허용요건
(5) 적극적 안락사의 비범죄화 요건
5. 의사조력 자살에 대한 재고
1) 윤리적 정당성
(1) 공리주의적 유용성의 원칙
(2) 환자의 자율성 존중
(3) 환자의 고통에 대한 동정
(4) 삶의 질
2) 사회적 대안
(1) 호스피스(Hospice)
(2) 사전의료지시서(Living Will)
(3) 경제적 지원과 제도화
3) 논쟁점
(1) 남용의 우려
(2)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
(3) 생명에 대한 책임윤리의 정립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