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동철학 Vol.1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52811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The Moral Status of an Embryo


  • 제어번호 : 82652811
  • 저자명 : 유호종
  • 학술지명 : 大同哲學(Journal of the DaePhilosophical Association) dong
  • 권호사항 : Vol.15 No.- [2001]
  • 발행처 : 대동철학회
  • 발행처 URL : http://ddpa98.org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17-336(2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1년
  • KDC : 1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배아 ,생명권 ,쌍둥이 가능성 ,가능적 존재자 ,Right to Life ,Possibility of ※ Twin. Possible entity


초록 (Abstract)

  • 오늘날 쟁점이 되고 있는 ‘배아의 연구나 이용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는가를 따져 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 성인을 살펴 그 생명권의 근거는 무엇인지 밝힌 다음 이 근거를 배아도 가지고 있는가 확인해 보면 된다.
    성인을 죽이면 주변의 사람들은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되므로 이런 해악을 방지하기 위해 성인에게 파생적으로 생명권이 부여된다. 하지만 배아의 죽음은 주변에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지 않으므로 이런 근거에서는 생명권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성인을 죽이는 것은 또한 그로부터 정신적인 고차원의 삶을 박탈하므로 성인은 이런 해악을 입지 않을 생명권을 갖게 된다. 배아는 만약 그것이 그로부터 자라날 성인과 동일한 존재라면 같은 근거에서 생명권을 갖겠지만 아직 쌍둥이 가능성이 있어서 그렇게 볼 수 없다. 실제로 배아가 죽임을 당할 때 빼앗기는 것은 십수일의 무의식적인 삶으로 생명권의 근거가 되기에는 미흡하다. 그렇다고 배아로 부터 자라날 성인의 ‘존재할 권리’에서 배아의 생명권이 파생된다고 볼 수도 없다. 이렇게 어떤 근거에 비추어 보아도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다고 인정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14일 이전 배아1)의 도덕적 지위’에 대해 답할 필요성

    2.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한 방법

    3. 죽임이 가하는 고통

    가. 죽는 자 자신이 느끼는 고통

    나. 주변인들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

    다. 배아의 경우

    4. 죽임이 박탈하는 삶

    가. 성인의 경우

    나. 배아의 경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발행년 2015 

    • 조회 수 94

    5 과학 기술 사회 형식적인 개인정보 사전동의 규제와 이용자의 책임 간의 관계 고찰 / 문정국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9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시스템에서 심장박동기의 보안 위협 모델링 / 박진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9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향한 불편한 시선,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 / 하정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93

    9 보건의료 국제표준화의 불확실성과 메르스사태 / 김기흥

    발행년 2016 

    • 조회 수 93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로 본 운전자와 인공지능의 주의의무의 변화와 규범적 판단능력의 사전 프로그래밍 필요성

    발행년 2016 

    • 조회 수 93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발행년 2011 

    • 조회 수 9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판례 변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판결양식과 손해배상액을 중심으로 -/신현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93

    9 보건의료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의료급여제도 현황과 정책과제 / 신현웅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92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 서비스 (DTC: Direct-to-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성영조

    발행년 2015 

    • 조회 수 9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를 위한 일본의 재해대책 매뉴얼 소개 / 김수진

    발행년 2018 

    • 조회 수 92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 R&D 시스템의 특징과 시사점 / 이명화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92

    1 윤리학 자기결정권 유형에 따른 형법적 검토 / 오가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92

    18 인체실험 미국 댄 마킹슨 사건을 통해 바라본 연구 관련 이해상충의 문제 / 김은애

    발행년 2016 

    • 조회 수 92

    18 인체실험 Assessing State Stem Cell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ow Has State Funding Affected Publication Trends?

    발행년 2015 

    • 조회 수 92

    15 유전학 Clinical Development of Gene Therapy Needs a Tailored Approach: A Regulatory Perspective from the European Union

    발행년 2014 

    • 조회 수 92

    1 윤리학 ‘개인의 명예 존중’과 ‘사생활 보호’ 관련 뉴스 보도에 관한 연구 / 최경진

    발행년 2018 

    • 조회 수 91

    1 윤리학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 효율성 분석 / 황현덕, 정선양

    발행년 2018 

    • 조회 수 9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대리인 지정제도 도입방안 모색 / 김보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91

    15 유전학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의 생명윤리적 쟁점과 안전한 시행 방안 연구 / 박수경

    발행년 2017 

    • 조회 수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