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15 유전학 조회 수 2657 추천 수 0 2015.12.17 11:14:37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Vol.36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14330 

GMO의 윤리적 문제 = The Ethics of GMO


  • 제어번호 : 100214330
  • 저자명 : 이종원(Lee, Jong-Won)
  • 학술지명 : 철학탐구
  • 권호사항 : Vol.36 No.- [2014]
  • 발행처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43-272(3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유전자조작작물 ,생명공학 ,생물해적질 ,생명다양성 ,지속가능성 ,실질적 동등성 ,사전예방원칙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Biotechnology ,Biopiracy ,Biodiversity ,sustainability ,substantial equivalence ,precautionary principle


초록 (Abstract)

본 소고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GMO와 연관된 세 가지 윤리적 문제, 즉 GMO가 인체에 미치는 안전성 문제, GMO가 농업 및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연관된 문제, GMO와 같은 생명특허기술을 이익증대의 도구로 삼는 다국적 기업의 윤리적 문제점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보다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들이 선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GMO는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첨단 기술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유해성 여부는 장기간에 걸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안전한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따라서 GMO의 안전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먼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GMO가 인체에 미칠 안전성, 환경이나 농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력을 감안하여, 엄격하게 테스트한 후에 유통시켜야 할 것이며, GMO를 생산하는 기업에게는 안전을 입증할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GMO의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엄격한 표시제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MO 기술자체가 안전한 기술이 아닐 수 있음을 전제로 위해성 평가를 엄격하게 시행해야 하며, 위험이 예상될 경우에는 GMO의 수출입과 유통을 잠정적으로 중단하는 모라토리엄을 시행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다국적 생명공학거대기업들의 식량 독점으로 인한 횡포를 막을 수 있는 법적, 제도적인 장치를 만들어 국제기구를 통해 규제하고 통제해야 할 것이다.
자연자원은 인류의 역사 보다 훨씬 오랜 전에 조성되어 이어온 것이기에 인간의 유익만을 기준으로 조작하려는 시도는 생태계의 온전성을 무너뜨릴 위험이 있다. 따라서 GMO만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종의 다양성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통하여 생태학적 온전성과 생명 공동체의 공존과 상생을 위해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GMO, 무엇이 문제인가?

    2. 유전자 조작기술의 유용성

    3. GMO의 윤리적 문제

    4.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의 권리

    5. 나오는 글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6
    13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3
    1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51
    11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2
    10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9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4
    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
    7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2011  609
    6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6
    4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3
    »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657
    2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22
    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