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1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15 유전학 조회 수 2648 추천 수 0 2015.12.17 11:14:37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Vol.36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14330 

GMO의 윤리적 문제 = The Ethics of GMO


  • 제어번호 : 100214330
  • 저자명 : 이종원(Lee, Jong-Won)
  • 학술지명 : 철학탐구
  • 권호사항 : Vol.36 No.- [2014]
  • 발행처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43-272(3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유전자조작작물 ,생명공학 ,생물해적질 ,생명다양성 ,지속가능성 ,실질적 동등성 ,사전예방원칙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Biotechnology ,Biopiracy ,Biodiversity ,sustainability ,substantial equivalence ,precautionary principle


초록 (Abstract)

본 소고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GMO와 연관된 세 가지 윤리적 문제, 즉 GMO가 인체에 미치는 안전성 문제, GMO가 농업 및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연관된 문제, GMO와 같은 생명특허기술을 이익증대의 도구로 삼는 다국적 기업의 윤리적 문제점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보다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들이 선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GMO는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첨단 기술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유해성 여부는 장기간에 걸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안전한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따라서 GMO의 안전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먼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GMO가 인체에 미칠 안전성, 환경이나 농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력을 감안하여, 엄격하게 테스트한 후에 유통시켜야 할 것이며, GMO를 생산하는 기업에게는 안전을 입증할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GMO의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엄격한 표시제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MO 기술자체가 안전한 기술이 아닐 수 있음을 전제로 위해성 평가를 엄격하게 시행해야 하며, 위험이 예상될 경우에는 GMO의 수출입과 유통을 잠정적으로 중단하는 모라토리엄을 시행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다국적 생명공학거대기업들의 식량 독점으로 인한 횡포를 막을 수 있는 법적, 제도적인 장치를 만들어 국제기구를 통해 규제하고 통제해야 할 것이다.
자연자원은 인류의 역사 보다 훨씬 오랜 전에 조성되어 이어온 것이기에 인간의 유익만을 기준으로 조작하려는 시도는 생태계의 온전성을 무너뜨릴 위험이 있다. 따라서 GMO만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종의 다양성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통하여 생태학적 온전성과 생명 공동체의 공존과 상생을 위해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GMO, 무엇이 문제인가?

    2. 유전자 조작기술의 유용성

    3. GMO의 윤리적 문제

    4.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의 권리

    5. 나오는 글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51 15 유전학 Genome Editing of Causative Gene for the Congenital Hearing Loss by CRISPR/Cas9 /류나리 2017  57
    50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4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48 18 인체실험 Genetic Comparison of Stemness of Human Umbilical Cord and Dental Pulp / 김현옥 2016  142
    47 15 유전학 Genetic Testing, Birth, and the Quest for Health 2014  165
    46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45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44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43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42 15 유전학 유전성 암과 유전상담 / 정승용 2007  190
    41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민지 외 2010  199
    40 15 유전학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 유호종, 김소윤 2015  201
    39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38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박상혁 2014  224
    37 15 유전학 유전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유전상담사 학회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 최지영 외 2009  228
    36 15 유전학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유호종 2015  231
    35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
    34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33 15 유전학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김현주 2011  258
    32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