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간이식의 이해 / 김종만

19 장기 조직 이식 조회 수 247 추천 수 0 2015.12.17 11:24:50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ASL Vol.201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702072 

간이식의 이해


  • 제어번호 : 99702072
  • 저자명 : 김종만
  • 학술지명 : KASL(KASL)
  • 권호사항 : Vol.2012 No.- [2012]
  • 발행처 : 대한간학회(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25-327(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2년
  • KDC : 513.3605


초록 (Abstract)

간이식은 만성 말기 간질환 (chronic end-stage liver disease)와 급성 간부전 환자의 효과적은 치료이다. 1963년에 Thomas Starzl에 의해 처음 시도된 간이식 이후 1980년대까지는 1년 생존율이 30%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면역억제제로서 cyclosporin의 사용은 1년 생존율을 60%로 증가시켰다. 1983년에 NIH에서는 간질환에 있어서 간이식이 효과적인 치료임을 보고하였다. 1980년 이후 수혜자의 선택, 공여자 치료, 수술 실기의 향상, 면역억제제의 개발, 이식 후 치료 등의 향상으로 뇌사자 간이식의 경우 1년 생존율이 85%, 5년과 10년 생존율은 70%와 60%로 보고 하고 있다. 간부전에 대한치료로서 간이식의 성공은 지속적인 간이식 대기 환자를 증가시켰다. 이에 비해 뇌사자의 수는 너무 부족하고 특히, 유교권 국가인 한국, 일본, 대만 등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더욱 공여자 부족 문제가 심각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체 부분 간이식을 하게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88년 첫번째 간이식을 하였고 1992년 첫번째 생체 부분 소아 간이식을 시행하였다. 성인에서 첫번째 생체 부분 간이식은 1997년 공여자의 좌측 간을 이용해서 간이식을 하였으나 간 이식편(liver graft) 가 작아서 이식 후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해서 1997년 중반부터 우측 간을 이용한 생체 부분 간이식을 처음시도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08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김경천 2001  176
2007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5
200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형사책임 / 이창민 2018  175
2005 9 보건의료 여성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폭력인 산과(産科) 의료폭력(obstetric violence)개념의 부상 / 윤지영 2017  175
200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75
2003 9 보건의료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백신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 / 윤도연 2016  175
2002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200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식세포 기증·수증의 공적 관리 및 지원 / 김은애 2009  175
200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2015  175
1999 9 보건의료 에이즈(AIDS) 환자의 인권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자의 윤리의식연구 : 생명의료윤리 입장에서 / 이용석 1999  175
199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 전대석 2018  174
1997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 정희윤 2015  174
1996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2016  174
1995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4
199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체세포 역분화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iPS)의 의학적 효용성 / 박세필 2009  174
1993 19 장기 조직 이식 비혈연 조혈모세포 공여자의 기증 경험 / 유재연 2016  174
199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조사 연구 / 김태은 2004  174
1991 8 환자 의사 관계 오스트리아 환자사전의사표시법(PatVG) / 이석배 2007  174
1990 4 보건의료 철학 한국에서의 의사 자율규제 현황과 발전방안 / 김휘원, 김정아 2016  173
198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 김종호 201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