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40038894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Comparison between Orthotopic and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Donor


  • 제어번호 : 40038894
  • 저자명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 학술지명 : 감염과 화학요법
  • 권호사항 : Vol.36 No.3 [2004]
  • 발행처 : 대한감염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sid.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39-148(1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4년
  • KDC : 510.0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Infectious complications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초록 (Abstract)

목적 : 최근 간이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생체 부분 간이식(LDLT) 시행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뇌사자 사체 간이식(OLT)과의 감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6년 5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 받은 2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88명은 LDLT를, 96명은 OLT를 시행 받았다. 간이식 후 감염증은 총 191명에서 발생하였고(67.0%) OLT 환자군과 LDLT 환자군 사이에 감염증의 발생 빈도와 원인 병원체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원체 별로는 Enterococcus 균정(16.2%) S. aureus(15.1%),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13.4%)의 순서였다. 감염증의 종류는 복강 내 감염이 총 83례로 가장 많았는데, LDLT에서 OLT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발생하였다(34.0% vs 19.8%, P=0.012). 요로 감염증(11.5% vs 4.3%, P=0.022)과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7.3% vs 1.6%, P=0.034)은 OLT을 시행한 경우에 많았다. 기타 감염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간이식 환자에서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감염의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감염증 중 복강 내 감염은 LDLT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장구균 감염, 특히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이 간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증의 중요한 원인 병원체임을 확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와 의사면허 / 권복규

발행년 2016 

  • 조회 수 96

7 의료사회학 의료전달체계 권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좌훈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정다운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1 윤리학 인공도덕성 검사의 가능성 / 김효은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순환기 약물임상시험 대상자의 서면동의서 이해도와 참여결정후회도 / 윤은화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불면의 무작위임상시험 해외 연구 동향 / 백영화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96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비급여, 실손보험, 그리고 올바른 의료제도의 정착을 위한 의료전달체계 / 서인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일차의료의 현황과 과제 / 임종한

발행년 2013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보건의료분야의 인공지능과 소비자이슈 / 정영훈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발행년 2016 

  • 조회 수 96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장세균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의 의약품 관련 정책 변화 예측 및 한국에의 시사점 / 손경복

발행년 2017 

  • 조회 수 96

9 보건의료 의료법 등의 리베이트규제와 청탁금지법(김영란법) / 김기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