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0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 Vol.37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59047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Related Factors and Death Preparation: A Comparison of Pre-elderly and Baby-boomers


  • 제어번호 : 99959047
  • 저자명 : 정순둘(Soondool Chung) ,김수현(Su-Hyun Kim) ,구미정(Mi-Jung Koo)
  •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권호사항 : Vol.37 No.1 [2014]
  • 발행처 : 한국인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31-153(2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319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죽음준비 ,죽음관련 요인 ,예비노인 ,베이비부머 ,Death Preparation ,Death Related Factors ,Pre-Elderly ,Baby Boomers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들의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를 비교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들의 노후준비로서 죽음준비의 필요성을 제고하고자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이며, 15개 광역시도별로 비례추출하여 죽음준비, 죽음에 대한 생각, 죽음대비 사전조치에 대한 인지정도와 동의정도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노인은 가족의 죽음과 자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할수록, 존엄사에 대한 내용을 잘 인지할수록, 유언장 작성에 대한 동의정도가 강할수록 죽음준비가 높았다. 베이비부머는 일반적인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할수록, 존엄사에 대한 내용과 유언장 작성에 대해 잘 인지할수록, 유언장 작성과 장기기증에 대한 동의정도가 강할수록 죽음준비가 높았다. 인구사회학적특성 중에서는 예비노인의 경우 치료중인 질환 여부와 삶의 만족도가, 베이비부머의 경우 주관적 신체건강과 주관적 경제상태 인식이 죽음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관련 요인으로서, 죽음에 대한 생각은 베이비부머보다 예비노인이 더 자주 하며, 죽음대비 사전조치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정도와 동의정도는 예비노인보다 베이비부머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죽음준비가 좋은 죽음을 준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앞으로 남은 삶에 대한 준비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이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인식하고 죽음준비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0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6
    49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6
    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2
    4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2017  290
    46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오승은 2017  297
    4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44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4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2014  341
    4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41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5
    4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3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2015  366
    3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90
    37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3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2014  410
    35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6
    34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33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3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7
    3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