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95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 생명윤리 조회 수 339 추천 수 0 2016.01.13 17:33:2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3 


[DBpia : 연구원 내 무료 열람 가능]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2015.12, 1-16 (16 pages)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Between Bioscience and Bioethics
박은정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3
  • 초록
  •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생명 문제가 과학지식담론에 의해 그 외연이 정해질 수 있는 문제로 바뀌고 있음에 주목한다. 그리고 생명에 관한 과학지식 담론의 우위 속에서 인간의 체험적 삶에 대한 서사(敍事)에서 목적론적 의미 추구가 줄어들고 인과적 설명방식이 늘어난다는 점을 지적한다. 생명과학지식의 생산 및 그 축적과 함께 생명 문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있다는 점, 생명현상과 생명 이슈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고 있다는 점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생명현상에 개입하는 과학기술의 증대가 가져오는 불확실성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과학적 판단과 윤리적 규범적 판단의 차이점을 분석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 분과과학 진영에 속해있는 연구자로서 우리가 이 불확실성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생명 문제를 둘러싼 갈등해결을 위해 어떤 의미의 바람직한 협력을 할 수 있을지 묻는다.
    필자는 지난 2000년대 수년 동안 ELSI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 분야에서의 ELSI 프로그램은 단순히 실험실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평가, 공동연구 요청을 넘어서는 수준에서 기획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필자는 대안적 ELSI 모델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생명과학기술영역에서 사전예방원칙의 중요성, 내러티브의 생명윤리적 역할, 과학에서 인문학 교육의 제도화 필요성, 자연과학과 정신과학 내지 사회과학의 새로운 파트너십 조건 등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목차
  • 국문초록
    Ⅰ. 출발점
    Ⅱ. 생명 문제를 대하는 관점의 변화
    Ⅲ. 과학적 판단과 윤리적 판단
    Ⅳ. 판단이 지나칠 때
    Ⅴ. 불확실성을 다루는 방법
    Ⅵ. 과학과 윤리 ‘사이’ 그리고 ‘너머’
    Abstract
  • 키워드
  • 생명윤리, 사회과학, 생명과학지식, 규범적 판단, 과학적 판단, 지식의 불확실성, 내러티브, bioethics, social science, knowledge of bioscience, normative judgment, scientific judgment, uncertainty of knowledge, narrative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9
    114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113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7
    »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9
    111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703
    110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3
    109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108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107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06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105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104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03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7
    102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45
    101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100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99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98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97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3
    96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