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6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2015.12, 49-66 (18 pages)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

- 영국의 미토콘드리아 기증 법령 분석

‘Three-Parent Babies’ vs. ‘Three-Person Babies’ : Analysis on UK’s regulations on mitochondrial donation

하대청, 차승현, 김근, 이연호, 백수진, 김명희



상세서지


한국어 초록
이 글은 오랜 논란 끝에 지난 10월 영국에서 시행된 미토콘드리아 기증에 관한 법령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수정 및 배아발생 (미토콘드리아 기증) 규칙 (The Human Fertilization and Embryology (mitochondrial Donation) Regulations 2015)’이라고 불리는 이 법령은, 심각한 미토콘드리아 질병이 유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체외수정기술을 사용해 미토콘드리아를 교체하는 것을 세계 최초로 허용했다. 이 글은 우선 미토콘드리아 교체기술이 무엇인지, 이것이 왜 필요한 것인지 그 과학적·의학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이 기술이 가진 윤리적 쟁점들이 무엇인지 주로 이 법령과 연관된 것들 중심으로 조사해볼 것이다. 다음으로 이 법령의 주요 내용들을 ‘허용된’ 생식세포와 배아, 부모됨(parenthood)과 알권리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 법령의 주요 내용을 이렇게 분석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주요한 윤리적·의학적 쟁점들에 대해 이 법령이 어떻게 응답했는지를 잘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이런 입장이 어떤 근거와 인식에 기초한 것인지 ‘유전자 변형’의 정의와 잠재적 위험의 평가를 중심으로 답해볼 것이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이 법령의 시행 이후 앞으로 어떤 쟁점들이 남겨져 있는지, 그리고 법체계와 문화가 다른 한국의 현실에서 이 법령은 어떤 과제를 안겨주고 있는지 전망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세 부모 아이’ 논란과 영국의 미토콘드리아 기증 규칙
2.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
3. 미토콘드리아 교체의 윤리적 쟁점들
4. 영국의 미토콘도리아 기증 규칙 (1) : “허용된” 난자와 배아
5. 영국의 미토콘드리아 기증 규칙 (2): 부모됨의 결정과 정보 제공
6. ‘유전자 변형’의 재정의와 잠재적 위험
7. 결론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발행년 2003 

  • 조회 수 585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발행년 2013 

  • 조회 수 58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발행년 2007 

  • 조회 수 586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발행년 2013 

  • 조회 수 586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발행년 2016 

  • 조회 수 586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발행년 2016 

  • 조회 수 587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발행년 2013 

  • 조회 수 588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588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발행년 2011 

  • 조회 수 589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589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발행년 2007 

  • 조회 수 590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590

9 보건의료 2016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 보험연구원

발행년 2016 

  • 조회 수 590

9 보건의료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박진아

발행년 2012 

  • 조회 수 590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발행년 2018 

  • 조회 수 590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592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발행년 2012 

  • 조회 수 593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4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594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발행년 2005 

  • 조회 수 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