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5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scholar.ndsl.kr/schDetail.do?cn=JAKO201507455617008 


[NDSL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The Present Situation, Problems, Improving Plans about the Establishment and the Operation of a Medical Association - Mainly on the Violations of the Rules Regulating Medical Institute's Opening -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v.16 no.2, pp227-261., 2015




초록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로 지역사회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중에서 특히 소비자들이 상부상조의 정신에 입각하여 공동의 복리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설립한 조직이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다. 한편, 의료법에 의하면 비영리법인에게 의료기관을 개설할 자격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나 협동조합기본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인 협동조합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자격이 있다. 그런데 애초 사회적 약자인 구성원들의 공동의 이익을 위해 조직되어야 할 협동조합이 의료기관 개설자격을 부여받기 위한 탈법적인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의료법상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의료인을 고용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이른바 사무장병원에 대한 조사와 부당이득징수가 강화되자, 이에 따른 우회적인 회피수단으로 의료협동조합을 설립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수가 급증하였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선 의료협동조합의 개설을 규율하고 있는 이원화된 현행 규범체계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 내지 제도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의료협동조합의 개설 운영, 폐업 현황 및 법령위반 내용 등을 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현행 의료협동조합개설 운영에 대한 규범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생협, 의료협동조합,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비의료인, 의료기관 개설제한, 사무장 병원, Consumer cooperation, Medical cooperative association, Non-medical personnel, Restricts opening a medical institut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5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44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 최경석 2017  122
43 9 보건의료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 김기흥 2015  124
42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41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2010  143
40 9 보건의료 인수공통성 병원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SFTSV) / 신성식 2013  152
39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2
38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미라, 제남주 2018  176
37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요양병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재 2017  194
3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2014  202
35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 김경완 2017  215
34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
33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고 / 백경희 외 2015  277
32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2009  323
31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5
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
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27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26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2015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