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scholar.ndsl.kr/schDetail.do?cn=JAKO201521866699279 


[NDSL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Trust to the Medical Service Division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한·양방 의료 사이에서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관한 고찰



박철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v.16 no.1, pp125-151., 2015




초록

우리는 한방과 양방의 이원화적 의료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방의료와 양방의료는 학문적 원리, 진단이나 치료방법 등에서 서로 차이가 나며 이를 한방의료와 양방의료의 상위성(相違性)이라 부를 수 있다. 한 양방 의료행위의 구별기준으로는 학문적 기준, 진단방법, 치료방법 등이 있고, 양방의료행위에 비하여 한방의료행위는 침습성이 낮고, 체질성을 보다 중시하며, 높은 재량성을 지닌다는 특성이 있다. 한 양방 의료사이에서 분업적 관계가 이루어질 때 양자의 관계는 종속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 동등한 관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기본적으로 이들의 관계는 상호 분리적 독립적인 관계로 볼 수 있으므로 수평적 분업관계로 보아야 한다. 수평적 분업이라면 신뢰의 원칙이 적용이 가능하나 양자의 상위성으로 인하여 이의 적용은 제한적이며, 이 경우는 양방의료 내의 각 과들 간의 의료분업이 이루어질 때의 신뢰원칙의 적용과는 다르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신뢰원칙의 적용은 양자 간의 업무분담의 범위, 분업이 이루어지는 의료기관들의 형태 그리고 어떠한 방법으로 진단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양방에서 진단을 맡고 한방에서 치료를 맡는 형태의 분업에서 이때 양방의 진단을 의료기기를 이용한 진단과 그렇지 아니한 진단으로 나누어 신뢰원칙의 적용여부를 살필 수 있는데, 한방에서는 진단하기 어려운 것으로서 양방의 의료기기를 이용한 진단결과에 대해서는 한의사가 이를 신뢰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양방 의료 간의 상위성으로 인하여 양방의 진단결과에 대하여 한의사는 한방적 관점에서 환자에 대한 증세를 확인할 진단의 주의의무가 있으나, 후자의 경우와는 달리 전자의 경우의 한의사의 진단의 주의의무의 의미는 한의사가 양방의 진단결과를 신뢰하여 이를 인지한 채 다만 치료를 위하여 환자의 증세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한편, 양방의 진단과실에 대하여 치료를 맡은 한의사도 한 양방 간의 상위성으로 인하여 그 진단과실의 책임이 문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한의사에게 형사적으로는 진단과실에 대한 책임을 묻기 어려울 것이다.



주제어
상위성, 수평적 분업, 선뢰의 원칙, 의료분업, Dual systems, Oriental medical practice, The principle of trust, Horizontal medical servi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88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5
2387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 김경완 2017  215
2386 15 유전학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권혁찬 2011  215
2385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5
23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의 미래/ 박찬국 2018  214
2383 1 윤리학 윤리적 선택과 판단의 기로에 선 인간의 윤리 원칙에 대한 성찰 / 유혜숙 2012  214
238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2381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유통 규제 및 주요 법적 문제 / 임혜연 2016  214
2380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2001  214
2379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14
2378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2377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죽음의 인식변화 : 임종, 상장례 중심으로/ 정일련 2019  213
2376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2017  213
237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13
237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논의와 「연명의료 중단 법률」의 주요쟁점에 대한 소고 / 이승호 2016  213
2373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3
2372 4 보건의료 철학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윤지 2019  212
2371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12
2370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하유리 2016  212
236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