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2139 

제목

연구논문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일본의 대응

영문명

遺傳資源へのアクセス及び利益配分(ABS)に對する日本の對應

저자

이윤나 ( Yoon Na Lee )

학술지명

과학기술법연구

권호사항

Vol.21No.1[2015]

발행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3-174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

주제어


생물다양성협약,나고야의정서,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유전자원 접근에 관한 가이드라인,

나고야의정서 관련 국내조치 방향 검토회,生物多樣性條約,名古屋議定書,

遺傳資源へのアクセス及び利益配分(ABS),遺傳資源へのアクセス手引,

名古屋議定書に係る國內措置のあり方檢討會

초록



일본은 2010년 ‘나고야의정서’가 채택되기 이전부터 생물다양성협약과 2002년 Bonn Guideline을 계기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준비해 온 것으로 판단된다. 2005년에 이미

 ‘유전자원 접근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2012년 나고야의정서 채택을 계기로 새롭게 개정하였고,

2005년에 이미 상담창구를 개설 운영함으로써 정부 및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산업계와 대학.

연구기관에 정보를 제공해왔다. 일본의 이러한 다양한 정부부처의 ABS에 대한 대응 예를 들어,

 환경성은 물론이고 경제산업성과 바이오인더스트리협회와 같은 단체까지 공동으로 대응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점은 주목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일본은 나고야의정서 채택의 의장국으로서

아직도 비준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 대해서는, 바이오산업계의 신중론에 기한반대와 이익공유의

소급적용에 대한 우려들을 제쳐두고라도 국제 정세에 뒤처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국내 적용 규칙이

 불명확한 채로는 자원의 활용이 진행되지 않아 새로운 연구개발 자체가 지체될 것이고 신제품의

생산도 어려워 질 것이다. 비준을 헛되이 지체하지 말고 자원이용국도 충분한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실효적인 틀을 마련하는 데에 노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대응이라 생각된다. 한편, 우리나라는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정부 부처들 간의 갈등으로인해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대한 ABS법을

 마련하지 못하고 생명자원의 종류와 소관부처에 따라 관련 법률을 달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 법률들마저

  나고야의정서에서 제기하고 있는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규정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현시점에서 비준을 위하여 정부 각 부처 간의 논의를 통한 합의점을

 찾는 것에만 시간을 지체하는 것보다는 국제정세에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국내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나고야의정서의 국내이행을 위한 조치를 명확히 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0
262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2626 15 유전학 유전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자의 구현 및 성능분석 / 송명선 외 2012  180
2625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2624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62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2622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62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80
2620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80
2619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2618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61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61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2615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614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2613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81
2612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81
2611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2610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81
2609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