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358197 


[KISS 한국학술정보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우리나라 의학논문출판윤리에서 이해상충의 관리에 관한 고찰



박진선 ( Jinseon Park ) , 최병인 ( Byungin Choe )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8권3호 (2015), pp.329-339




한국어 초록

  •    의학 논문 출판에서 지적되는 윤리적 문제점 중 이해상충은 연구 결과물의 객관성, 신뢰성, 공정성에 훼손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외 학술지 이해상충 규정 조사를 위해 JCR (Journal Citation Reports) 5-Year IF (impact factor) 상위 9개 학술지를 살펴본 결과, 이들 학술지 모두 이해상충 규정 및 정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적 이해상충 및 비재정적 이해상충 관리를 위한 규정 역시 마련되어 있었다. 또한 9개 학술지 모두 이해상충 공개를 통해 이해상충 관리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한의학회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158개 각 의학회에서 이용하는 전체 160개 학술지의 이해상충 규정을 조사한 결과, 이해상충 규정을 보유하고 있는 학술지는 142개(89%)였으며, 규정을 보유하고 있는 학술지 142개 중 이해상충의 정의를 제시하고 있는 학술지는 80개(56%)로 나타났다. 또한 규정을 보유하고 있는 학술지 142개 중 재정적 관계관리 규정을 보유하고 있는 학술지는 139개(98%), 비재정적 관계에 관한 관리 규정을 보유하고 있는 학술지는 91개(64%)로 나타났다. 또한 규정을 보유한 모든 학술지는 이해상충 공개를 통해 이해상충 관리를 하고 있었다. 이해상충 규정은 정의, 목적, 적용대상, 공개 등 관리 절차를 비교적 자세하고 명확한 기준 제시가 필요하다. 명확하고 표준화된 규정은 의학 관련 출판을 위한 모든 사람들에게 가독성 높일 뿐 아니라 이해상충에 관한 이해도 증진도 바랄 수 있다. 결국 명확하고 표준화된 체계적인 이해상충 규정을 통한 이해상충의 영향으로 인해 잠재적 또는 실질적 부정적 영향이 미친 출판물의 사전 방지는 학회지 본연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출판물의 진실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 키워드
  • 의학논문, 출판윤리, 이해상충, 이해상충관리규정, medical journal, publication ethics, conflicts of interest, conflicts of interest policie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4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70
    1947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70
    1946 2 생명윤리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 / 맹광호 1993  170
    194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및 딥러닝 국방감시체계 적용방안 검토 / 안정철, 권혁진 2016  170
    1944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2003  170
    1943 5 과학 기술 사회 가상 로봇의 학습 행동이 인공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상호 2005  170
    1942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규정의 비교법적 분석 / 류일현, 안영하, 오정균, 우제창, 추정완 2016  170
    1941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 23 연구윤리 우리나라 의학논문출판윤리에서 이해상충의 관리에 관한 고찰/박진선, 최병인 2015  170
    1939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1938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9
    1937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9
    19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박정연 2017  169
    1935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9
    1934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933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9
    1932 9 보건의료 우리나라와 OECD의 의료자원 투입량의 비교를 통한 보험수가의 이론적 추정 / 오동일 2013  169
    1931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9
    1930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169
    1929 9 보건의료 응급의료 수가체계 개선방안 /이윤태 2004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