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384420 


[KISS 한국학술정보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보건생명의료분야에서 개인정보 관련 법률 간의 대립과 모순



정창록 ( Chang Rok Jeong )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8권4호 (2015), pp.407-423




한국어 초록

   보건생명의료분야의 연구는 주로 개인의 건강과 생명에 관한 정보를 많이 다루게 된다. 즉 연구에서개인의 신체를 구성하는 물질정보와 개인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의료정보가 종합적으로 요구되기도한다. 따라서 보건생명의료분야의 연구에서는 개인정보 이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제공 제한)에서는 예외규정을 두어 개인정보의 목적 외이용 및 제공을 허용하고 있다. 이 조항은 특히 보건생명의료분야에 적용되어야만 한다. 공익을 위해보건 향상을 위한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이 완비되었다면 개인정보 이용은 허용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 제25조, 제26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25조, 생명연구자원의 확보ㆍ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0조에서 정하고 있는 국가가 지원한 연구 사업 성과의 활성화라는 원칙과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의 원칙이 어떻게 보건의료분야에서 법률적용 상의 대립을 일으키는지와 생명윤리법 제43조 2항과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2항이 어떻게 모순되는지를 보이고 있다. 개인정보의 활용에 대한 법적 모순성으로 인해 보건생명의료분야에서 실제로 개인 정보를 활용하고자 할 때, 관계되는 법률 해석 및 적용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대단히 높다. 본 논문은 한국의 보건생명의료분야에 적용 가능한 현행법들이 어떠한 모호성과 모순성을 나타내며, 상호 이율배반성을 드러내는가를 보이려 노력하였다.



키워드

생명의료연구, 보건의료법, 과학기술기본법, 개인정보보호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biomedical research, public health law,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on, Bioethics and Safety 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168 2 생명윤리 동물권 옹호론과 영장류 실험에 대한 윤리적 검토 / 추정완 외 2007  227
2167 20 죽음과 죽어감 무연고자의 연명의료결정: 제도적 관점에서 / 김보배 외 2018  227
2166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 규정 및 주요 선진국(미국, 영국, 일본) 의료기기 임상시험 관련 규정 비교연구 / 이민주 2015  227
2165 9 보건의료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구축 / 이은환 외 2018  227
2164 5 과학 기술 사회 이종이식연구자 대상 윤리교육의 시행과 그 효과에 관한 고찰 / 모효정 2010  228
2163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2162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와 관련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대응방안/박보람, 남두현 2012  228
2161 4 보건의료 철학 인권개념에 기초한 간호연구윤리 교과과정/윤희상, 김경희 2015  228
»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생명의료분야에서 개인정보 관련 법률 간의 대립과 모순/정창록 2015  228
2159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 이은하 2016  228
2158 15 유전학 유전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유전상담사 학회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 최지영 외 2009  228
2157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돼지 수정란의 효율적인 초급속 동결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정학준 2016  228
2156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2155 9 보건의료 신의료기술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 이선희 2014  228
215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8
2153 13 인구 임신 ·출산 ·육아 지원정책에 대한 임산부의 요구분석 2017  228
215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분자 및 전기 자극에 반응하는 인공근육 연구 / 김태협 2018  228
2151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조상은 2014  229
215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사윤리규약 내용분석 :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한국의사윤리 규약을 중심으로 / 권용진 2004  229
214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 권순현 2006  229